유니버설발레단 ‘초대 심청’ 문훈숙 단장-‘30주년 심청’ 홍향기씨
30년 전 심청 의상을 입은 문훈숙 유니버설발레단 단장(오른쪽)과 올해 30주년을 맞은 ‘심청’에서 이 역할을 처음으로 맡은 발레리나 홍향기. “옷이 작아진 것 같다”고 말하는 문 단장을 향해 홍향기는 “(예전 옷이) 바꿔 입고 싶을 정도로 더 매력 있다”고 말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지난달 25일 서울 광진구 유니버설아트센터에는 한복을 차려입은 두 명의 심청이 나타났다. 한 사람은 30년 전인 1986년 유니버설발레단의 ‘심청’에서 초대 심청을 맡았던 문훈숙 유니버설발레단 단장(53). 당시 이 작품은 국내 창작 발레로는 최초로 해외에 진출해 15개국 40여 개 도시에서 250여 차례나 무대에 올려졌다. 문 단장은 이 역할로 100여 차례나 공연했다. 또 한 명의 심청은 10∼18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30주년 ‘심청’ 무대에서 처음으로 이 역할을 맡은 홍향기(27)다.
‘심청’은 문 단장의 분신과도 같은 작품이다. 전체적 안무는 미국 안무가인 에이드리언 댈러스가 담당했다. 하지만 문 단장이 오페라와 판소리에 기초해 자신만의 예술관과 동작을 입혔다. “제가 23세 때 처음 심청을 맡았어요. 없던 것을 새로 만들다 보니 군데군데 안무가 빈 부분도 있었고, 제가 생각하는 심청에 대한 것도 있어서 동작을 많이 만들었어요.”(문 단장)
심청은 30년 동안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 무용수들에게도 심청은 꼭 해보고 싶은 역할 중의 하나로 꼽힌다. 문 단장은 세월이 지나도 인기를 끌 수 있었던 비결로 ‘효’ 사상을 꼽았다. “대부분의 발레 작품은 남녀 간의 사랑을 다뤄요. 심청은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부모에 대한 사랑을 담았어요. 심청을 본 뒤 눈물을 흘리는 해외 관객이 많았어요. 그만큼 ‘효’는 인류 보편적인 정서예요.”(문 단장)
초등학생 때 처음 심청을 봤다는 홍향기는 이 작품에 대해 특별한 추억을 가지고 있다. “발레에 관심이 없던 아버지가 2013년 우연히 이 작품을 본 뒤 발레단의 모든 공연을 챙겨서 볼 정도로 팬이 됐어요. 심청을 보고 발레에 눈을 떴대요. 이번에 제가 심청 역할을 맡는다니 그 어떤 때보다 좋아하셨어요.”(홍향기)
지금까지 많은 무용수들이 심청을 맡았지만 각자 생각하는 ‘최고의 심청’이 있다. “연기와 기술, 음악성 등 3박자를 갖춘 발레단의 전 수석무용수 박선희가 최고였어요.”(문 단장) “수석무용수인 황혜민 언니는 항상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심청을 연기해요.”(홍향기)
이번 30주년 무대에는 문 단장을 비롯해 김인희 서울발레시어터 단장, 박선희, 전은선, 강예나 등 역대 심청을 맡았던 무용수들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김동욱 기자 creati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