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부실 악화시킨 비상근 임원 해군장성-관료 출신 등 모두 32명… 남상태-고재호 前사장도 거쳐가 낙하산-보은 인사 논란 사외이사는 MB정부이후 18명중 10명 ‘政피아’
‘평균연봉 1억470만 원, 3000cc 이상의 고급 차량, 연간 최대 2억 원이 넘는 사무실 임차료에 법인카드와 자녀 학자금….’
대우그룹으로부터 분리된 2000년부터 임명된 대우조선해양의 자문 및 고문단 32명에게 지급된 지원명세이다. 특별한 자문 실적도 없이 고문·자문역·상담역이라는 직함으로 비상근 임원이 대거 양산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부실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은행이 대주주가 된 2000년 이후 대우조선해양의 고문들을 살펴보면 대우조선 임원 출신(계열사 포함)이 7명으로 가장 많고 해군 장성(5명)이 그 뒤를 이었다. 정치인, 정부 관료, 산업은행 출신이 3명이었고 수출입은행과 국정원 인사도 2명씩 이름을 올렸다.
‘낙하산 인사’ ‘보은 인사’ 논란이 끊이지 않는 대우조선해양의 역대 사외이사들도 면면이 화려하다. 2000년부터 지난달까지 선임된 사외이사는 30명이며 이 가운데 18명이 산업은행 및 관료 또는 정치권 출신 등이었다. 2009년 이명박 정부부터 임명된 사외이사 18명 중 10명은 이른바 ‘정피아’였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전체 7명 중 이종구 새누리당 의원과 조전혁 전 새누리당 의원 등 정치권 출신 인사만 5명이 임명됐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이 전 대통령의 현대건설 시절 측근으로 분류되는 장득상 사외이사, 김영 17대 대선 한나라당 부산시당 고문 등이 선임됐다. 역대 사외이사 중 정작 조선해양 관련 전문가는 당시 충남대 선박해양공학과 교수였던 김형태 사외이사 한 명뿐이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신동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