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하루 평균 2500건 공익신고… 시민들 보복-난폭운전 감시자로
4월 22일 경남 창녕군 중부내륙고속도로 한복판에서 보복운전을 일삼던 한 여성이 급정거한 뒤 차에서 내려 뒤따르던 차량 운전자에게 욕설을 하고 있다. 영상은 주변 차량의 블랙박스에 녹화됐다. 경찰청 제공
도로 한복판에서 ‘위험천만 분풀이’를 한 김 씨는 완전범죄를 꿈꿨지만 보름도 안 돼 경찰에 붙잡혔다. 김 씨의 범행을 포착한 건 경찰의 폐쇄회로(CC)TV가 아니었다. 이날 현장상항은 A 씨의 차량에 부착된 블랙박스에 고스란히 녹화됐고 A 씨는 이를 토대로 국민신문고에 보복운전 신고를 했다.
최근 차량용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의 촬영 기능을 이용해 교통법규 위반자를 신고하는 이른바 ‘시민 감시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4월에는 경남 창녕군의 한 고속도로에서 보복운전을 일삼던 한 40대 여성이 뒤따르던 차들의 5중 추돌사고를 야기한 채 도주했지만, 주변 운전자의 블랙박스 영상에 덜미를 잡혀 구속되기도 했다.
최근 이 같은 ‘도로 위 감시자’들이 늘고 있는 것은 법을 준수하는 사람이 오히려 손해를 본다는 것에 대한 분노와 시민의식 제고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과거 관행적으로 눈감았던 불법행위들에 대해 시민들이 더 이상 방관하지 않겠다며 적극적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준법의식 강화와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IT) 기기의 발달이 영향을 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승현 기자 byhum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