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 김동성 교수.
김동성 포항공대(POSTECH)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비싼 광학장비 없이 액체의 그림자를 이용해 액체 속에 포함된 용질의 양을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빛의 이동속도는 진공 상태에서 가장 빠르고, 공기나 물속 같은 매질 안에서는 그 속도가 느려지며, 이것은 매질이 변할 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굴절률과 직결된다. 하지만 액체의 굴절률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현미경이나 광학렌즈 등 정밀 장비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액체 시료를 이용한 실험에서 굴절률과 액체의 성질이 정확하게 맞아떨어진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측정장치는 사용법과 원리가 간단해 일반인도 활용하기 쉽다.
김 교수는 “자연광을 이용하면 외부 전원도 필요 없고, 구조와 제작도 단순해 산업계의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5일자에 실렸다.
이우상 동아사이언스기자 ido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