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재단 ‘출판 불가’ 최종 결정… 45억원 들인 사업 끝내 원점으로
8년간 45억여 원의 세금을 들인 동북아역사지도가 ‘출판 불가’ 판정을 받았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서강대-연세대 산학협력단이 제출한 지도를 심사한 결과 최하위 등급인 ‘D’등급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재단 관계자는 “지도학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출판할 수 없다고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북아역사지도는 우리 민족의 강역을 시대별로 표기한 지도로 재단이 2008년부터 산학협력단에 위탁해 제작해 왔다.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11월 지도 완성본을 재단에 제출했으나 부실 판정을 받고 두 달간 수정을 거쳐 올 4월 말 다시 제출했다.
지도 제작에 참여했던 한 관계자는 “산학협력단이 재단의 수정 요구를 대폭 수용했던 것으로 안다”며 “디자인 문제는 추후라도 수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동북아재단 관계자는 “조사 결과 산학협력단이 규정에 맞지 않게 쓴 초과 지출 등이 발견돼 산학협력단에 지급한 사업비 중 10억여 원을 환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재단은 환수 방침을 24일 산학협력단에 구두로 통보했다.
동북아재단은 산학협력단이 만든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향후 새 역사지도를 만드는 데 활용할 방침이다. 새 지도는 재단이 지리학자 등 전문가를 위촉해 자체 제작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재제작 과정에서도 당초 논란의 계기가 됐던 한군현 위치 등 고대사 강역 문제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