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대기업 취업에 유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학자금 등 부모의 지원이 탄탄할수록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폭넓게 쌓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내놓은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에 따르면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있는 학생 2695명 가운데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부모나 친지에게서 학비를 지원받고 인턴, 실습 등의 전공과 관련된 근로를 경험한 대학생)는 1313명,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본인 스스로 학자금을 조달해야 해 전공과 관련 없는 아르바이트 등을 경험한 대학생)는 1382명이었다.
조사 결과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 가운데 5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한 학생의 비율은 17.8%였지만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14.4%에 그쳤다. 두 집단은 부모 소득에서도 차이가 났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 가운데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 원 이상 500만 원 미만인 비율은 42.7%,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미만은 25.4%, 1000만 원 이상은 4.4%였지만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의 59.0%는 부모의 월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이었다. 부모 소득이 높을수록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을 더 많이 할 수 있고, 대기업 취업도 유리한 셈이다.
정한나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부모 소득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 대기업 취업 확률 및 근로조건에서 뚜렷한 상관관계가 드러난다”며 “부모로부터 학비 지원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계발을 위한 경험을 쌓고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아무래도 좋은 일자리를 얻기에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