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에 직접 영향주는데도… 스프레이 제품 방치하는 정부
○ 스프레이형 제품 “위해 우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분무기 형태로 쓰이는 방아쇠형(트리거형) 제품에서도 MIT가 94.86ppm 검출됐다. 이 역시 스프레이형(욕실, 화장실, 거실용) 방향제와 마찬가지로 호흡기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두고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겪고도 정부의 인식이 안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환경부가 직접 관리하는 위해 우려 생활화학제품 중 유일하게 MIT 농도 기준치가 있는 제품은 섬유유연제다. 섬유유연제가 빨래 이후 남아 있을 가능성까지 고려해 100ppm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관리하는 물티슈의 MIT 허용 농도도 같지만 위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이들 제품보다 호흡기에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스프레이형 제품에서 더 많은 MIT가 검출됐는데 방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13일 국회 토론회에서 “수많은 희생자를 남기고 독성물질로 판명이 난 MIT를 비롯해 PHMG, CMIT는 생활화학제품에서 퇴출시켜야 하는 물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페브리즈도 이미 분석
전문가들에 따르면 생활화학제품에 유해물질이 있는지보다 농도와 사용빈도, 사용법이 더 중요한 요소다. 유해물질이 있다고 겁부터 낼 것이 아니라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서 적절한 사용 시간에 맞춰 쓰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설명과 소통이 부족하다는 것. 실제로 보고서는 해외에는 규제 기준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위해성 평가까지 거쳐 DDAC 농도 기준치를 제시했는데 정부는 5월 해당 물질은 국내 독성평가 자료가 없다고 발표하면서 논란을 덮기에 급급했다.
이에 가습기 살균제 국정조사에 참여하는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을 비롯해 우원식 의원, 정의당 이정미 의원 등 야당 특위 위원들은 13일 국회 토론회를 열어 화학제품의 포함 물질 공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산업안전보건법을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의원은 “제품에 대한 투명성이 확보돼야 국민이 안심할 뿐 아니라 기업도 논란이 일어날 때마다 불안해하지 않아도 돼 경쟁력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