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금융협회장 민간출신 채우고, 부회장 자리 없앴더니…
○ 각 협회 전무, 낙하산 눈치작전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과장 출신의 A 씨는 이달 말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생보협회 전무로 가기 위한 재취업 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올해 3월부터 생보협회 전무 내정설이 돌았던 A 씨는 지난달 말 공직자윤리위 심사를 받았지만 업무 관련성 등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해 재심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 감사담당관으로 퇴직한 A 씨는 보험 관련 업무를 한 적이 있다. 생보협회는 지난해 9월 오수상 전 부회장이 물러난 뒤 부회장직을 없애고 전무직을 신설했지만 11개월째 자리가 비어 있어 업무 공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앞서 연초에는 기획재정부 출신인 김형돈 전 조세심판원장이 은행연합회 전무로 내정돼 낙하산 논란이 일었다. 다만 김 전 원장은 두 번이나 공직자윤리위 취업 심사를 통과하지 못해 결국 민간행이 무산됐다. 최근엔 기재부 출신 대신 금융위 간부 출신의 인사가 은행연합회 전무에 내정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 “회장 대신 2인자 자리 달라”
그동안 금융협회장은 모피아(옛 재무부+마피아)가, 부회장은 금피아 출신이 주로 맡아왔다. 하지만 세월호 사태 이후 낙하산 관행을 폐지한다는 당국의 방침에 따라 각 협회는 부회장직을 일제히 없애고 전무직을 만들었다. 당시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 금융협회에 관료나 금감원 출신이 낙하산으로 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내부에서 알아서 자리를 채우면 된다”고 공언했다.
실제로 2014년 9월 민간 출신으로 약 12년 만에 협회장에 오른 장남식 손해보험협회장부터 올해 6월 취임한 김덕수 여신협회장까지 7대 금융협회의 수장 자리를 모두 민간 출신이 꿰찼다.
일각에서는 금융 관련 경력이나 전문성이 거의 없는 정피아(정치권+마피아)보다는 관피아 출신이 오히려 낫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관피아들은 관련 업무를 잘 알고 있고 금융당국과 창구 역할도 잘할 수 있어 협회에서 먼저 찾기도 한다”고 말했다. 최근 예금보험공사 비상임이사,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외이사에 금융과 무관한 대통령경호실 출신과 친박계 인사가 선임돼 정치권 ‘보은 인사’ 논란이 거셌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