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이 촬영한 함경남도 문천시 철도역 인근 모습. 뿌연 공기 속에 황폐화된 산이 보인다. 사진 출처 중국인 관광객 블로그
주성하 기자
문천야영소는 원산 송도원국제소년단 야영소에서 북쪽으로 불과 4km 남짓한 곳에 있다. 그 두 야영소 가운데에 김정은의 생가이자 지금도 매우 애용하는 602초대소(별장)가 있다. 다시 말하면 김정은 별장은 양쪽에 소년단 야영소를 끼고 있는 셈이다. 송도원야영소가 1959년부터 있었는데도 별장 다른 쪽에 굳이 소년단 야영소를 또 건설하는 이유도 궁금하다. 김정은이 아이를 유별나게 사랑해서일까, 아니면 어른을 주변에 두는 게 위험하다고 생각해서일까.
문천에 소년단 야영소가 건설된다는 소식은 나를 몹시 놀라게 했다. 야영소와 문천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기 때문이다. 문천은 북한에서 가장 심각하게 오염된 지역으로 꼽힌다. 최근 바로 옆 원산에서 온 한 탈북자는 “문천은 땅 색깔이 다르다. 그곳에선 염소와 같은 풀 먹는 동물은 살지 못한다”라고 증언했다.
북한의 3대 제련소인 문평제련소는 일제강점기인 1938년 스미토모 원산제련소라는 이름으로 건설됐다. 광복 후 이름을 바꾸어 지금에 이르렀다.
통일부 북한정보포털에 따르면 문평제련소의 생산 능력은 납 3만5000t, 조연 5만9000t, 아연 11만 t, 황산 9만 t이며 금, 은, 안티몬, 주석, 카드뮴이 부산물로 나온다. 이 가운데 카드뮴이 이타이이타이병의 원인이다. 이 병은 일본 미쓰이 그룹이 20세기 초반 운영하던 납, 아연 제련소 주변 사람들이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면서 알려졌다. ‘이타이’는 일본어로 ‘아프다’는 뜻이다. 1961년부터 7년간 조사를 진행한 일본 정부는 제련소 폐수에 섞여 있는 카드뮴에 중독된 것이 이 병의 원인임을 밝혀냈다.
약 100년이 지난 지금 북한이 그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물론 광복 후에도 생산 성과만 강조했지 환경오염에 대해선 거의 신경을 쓰지 않은 결과물이다. 더구나 39호실에서 관장해 생산하는 금과 아연 등은 김씨 일가의 핵심 돈줄이어서 문평제련소는 오직 생산제일주의로만 내몰렸다. 문천에 사는 노동자나 주민은 거주 이전의 자유가 없어 타지로 이사할 수도 없다. 또 다른 유명 제련소인 남포제련소는 2000년 환경오염 때문에 해체했지만, 문평제련소는 여전히 운영 중이다.
공장 역사가 80년 가까이 되면서 그 주변에는 아연 등을 뽑아낸 찌꺼기(슬래그)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그런데 1990년대 말 북한에 각종 외화벌이 기관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기면서 이 슬래그 더미가 다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재가공하면 옛날 정제 기술 부족으로 미처 뽑아내지 못했던 금과 아연이 다시 쏠쏠하게 수거됐기 때문이다. 외화벌이 기관들은 뇌물까지 들여 가며 슬래그 더미를 나눠 가졌다. 수십 년 세월 굳어 가던 슬래그 더미는 다시 무질서하게 파헤쳐졌다. 구글 어스로 문천을 확대해 보면 벌겋게 파헤쳐진 땅과 물웅덩이가 곳곳에 보인다. 이 물은 아무런 정제 과정 없이 바다와 인근 강으로 마구 흘러 들어가고 있다.
물론 이것이 모두 제련소 탓만은 아니다. 원산항 바로 옆의,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화학공장도 환경오염이 심각하다. 그렇지만 하부 구조를 몰라 선뜻 해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레이더의 전자파 문제로 난리가 난 남쪽을 보면서, 나는 이런 엄격한 기준으로 문천을 평가하면 어떤 수식어가 필요할지 궁금하다. 죽음의 땅? 북한은 죽음의 땅이라면 김정은 별장이 있겠느냐고 반박할지 모른다. 물론 김정은이야 먹는 것은 특별히 공수해 올 것이니 바다에 들어가는 것만 신경을 쓰면 될 것이다. 그래도 김정은의 별장은 부럽지 않다. 나는 중금속 범벅이 된 그 바닷물엔 도무지 뛰어들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