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휴가 중인 28일 울산 남구 신정시장을 방문해 한 상인과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청와대 관계자는 31일 “박 대통령이 휴가 중 내수 진작을 위해 울산을 방문한 것처럼 대통령의 관심은 민생과 경제”라며 “국무회의에서도 정무적인 사안보다는 민생과 안보에 대해 언급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치권은 박 대통령이 언제 개각을 단행할지, 우 수석의 거취는 어떻게 정리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면 우 수석의 거취가 개각 시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야당이 우 수석의 인사검증을 문제 삼기 위해서라도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맹공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청와대는 우려하고 있다. 또 새누리당 전당대회(9일)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전당대회 전 개각을 실시하면 관심이 분산되고, 전당대회 후 여당 새 지도부와 개각을 논의하는 것이 당청관계에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우 수석 문제와 관련해선 여전히 정면 돌파 기류가 강하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박 대통령은 우 수석과 직접 관련된 비위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 수석을 교체하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이 특별감찰관의 감찰 결과를 기다린 뒤 최종 판단할 것이라는 게 청와대 내부의 중론이다.
다만 우 수석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선 청와대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지난주 박 대통령 직무 수행 지지도는 전주보다 1%포인트 떨어진 31%였다. 여권 내에서는 여소야대 상황에서 박 대통령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지면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상황이 악화되면 우 수석이 전격 자진사퇴함으로써 문제를 정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권 관계자는 “광복절을 계기로 분위기를 일신하려면 특별사면과 함께 인사 문제도 이 때까지는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