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姜 재직 2년간 비리 포착 당시 ‘깡통회사’였던 바이오사에 직위 이용해 대우조선 투자 압박 친분있는 건설사 일감 몰아준 정황 “실세-산은 비호 의혹 수사 신호탄”
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이날 강 전 회장의 사무실 두 곳과 자택을 압수수색해 그가 보관하던 개인 일지, 경영 관련 자료, 각종 계약서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또 강 전 회장이 대우조선해양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몰아준 것으로 의심되는 바이오업체 B사와 건설업체 W사도 함께 압수수색했다.
검찰에 따르면 강 전 회장이 산업은행장 직위를 이용해 대우조선해양이 B사에 연구개발비 명목으로 수십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은 정책금융 지원을 통해 사실상 대우조선해양을 지배하고 있다. 그런데 B사는 이 돈의 수억 원만 연구개발비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다른 용도로 전용했다고 한다. 대우조선해양이 이 회사에 자금을 대기 시작한 2011년은 아직 B사가 손실만 12억 원을 내던 사실상 ‘깡통회사’였다. 이 회사 주주와 친분이 있는 강 전 회장이 대우조선해양을 압박해 B사를 지원했고, B사는 이 자금 중 최소한만 연구개발에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 돈이 어디로 새어 나갔는지 회계자료를 분석 중인 검찰은 강 전 회장에게도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의 강 전 회장 압수수색은 대우조선해양 수사가 이명박 정부 실세를 향하고 있다는 유력한 방증이란 분석이 나온다. 사장 연임 로비 등 대우조선해양 비리의 끝에는 회사의 인사를 좌우한 당시 핵심 세력들이 있다는 견해가 많다. 강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경제특별보좌관 등을 거친 대표적인 ‘MB맨’이다.
산업은행의 비호 없이는 대우조선해양이 대규모 부실을 발생시키고 이를 숨기기 어렵다는 점에서 산은과 대우조선해양 간 유착 수사가 계속 확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법조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김준일 jikim@donga.com·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