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가 “中논리 교육받게 될 것… 中, 남의 칼로 敵 치는 차도살인” 김종인 “얻어올 것 하나도 없어” 김영호에 전화 걸어 만류하기도 기업인들 참석꺼려 간담회 취소
‘사대 외교’라는 지적에도 8일 중국을 방문하는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단 6명은 중국에 이런 빌미를 주고 선전 선동에 휘말릴 공산이 다분하다.
방중(訪中) 의원단 6명에 대해 외교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한중 외교에 활로를 뚫어 보겠다’는 의욕이 앞설 뿐 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을 상대할 만한 역량은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외교 현장 경험도 찾기 어렵다. 신 의원은 치과의사, 손 의원은 브랜드 전문가, 김병욱 의원은 증권계, 소 의원은 출판운동을 했던 1970년대 운동권 출신이다. 한중청년지도자포럼 대표를 맡고 있는 김영호 의원과 중국 국립우한대 역사학과에서 국제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은 박 의원도 외교 감각이나 고도의 전략적 현안을 다룰 전문성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전문성 논란에 대해 김병욱 의원은 “국제정치를 전공한 교수자문단과 함께 가기 때문에 전문성이 없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7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중국에) 가서 언론에 이용이나 당하면 당을 위해서도, 국익을 위해서도, 본인들을 위해서도 좋지 않다”며 “얻어올 게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김영호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꼭 가야 되느냐”며 방중을 만류했다.
청와대의 재검토 요구 등 당 안팎의 우려가 계속되자 이들은 이날 저녁 긴급 모임을 갖고 추가 논의를 했지만 “중국 방문은 이미 확정된 의원외교의 일환으로 여타의 국내정치적 이유로 취소할 수 없다”며 강행 의사를 밝혔다.
더민주당 의원단은 8일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의 장샤오밍(張小明) 한화(韓華) 왕둥(王棟) 교수, 제다레이(節大磊) 강사, 치하오톈(祁昊天) 박사 등과 좌담회를 갖는다. 이어 9일엔 이펑(易鵬) 판구(盤古)연구소 이사장, 가오쭈구이(高祖貴) 중앙당교 교수, 왕쥔성(王俊生)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등과 만난다.
더민주당 의원단이 방중 기간에 추진하려던 행사도 역풍을 맞고 있다. 중국에 이용당할 가능성이 있는 외교 활동에 부담을 느껴 이들이 주관하는 행사에 참석하기를 꺼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8일로 예정된 기업인들과의 오찬을 겸한 간담회가 참석자 부족으로 취소됐다. 9일 오후 교민간담회 장소도 당초 한 대기업 회의실에서 여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해당 기업에서 난색을 표해 장소가 바뀌었다. 의원단은 김장수 주중대사에게 9일이나 10일에 조찬간담회를 하거나 일정이 여의치 않으면 티타임을 갖자고 제안했으나 답을 듣지 못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 베이징=구자룡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