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급증세, 비수기에 주택담보대출 급증…왜?

동아일보DB
끝 모르는 가계부채 증가세에 정부가 은행권의 대출 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에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16년 7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673조7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월간 증가액은 6월(6조5000억 원)보다 2000억 원 줄었고 작년 7월(7조3000억 원)과 비교하면 1조 원 감소했지만, 2010∼2014년의 7월 평균(2조 원)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은행의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06조6000억 원으로 한 달 사이 5조8000억 원 늘었다.
주목할만한 것은 비수기로 분류되는 여름철에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주택담보대출의 증가 폭이 확대된 것은 주택 거래량이 늘고 대출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시중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5월 전국으로 확대했지만 그 실효성이 의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금통위원들은 지난달 한은 금통위에서 서울 등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됐다며 가계부채 증가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