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DB.
구글이 ‘포켓몬 고’ 서비스를 빌미로 한국 지도를 해외로 반출해야 한다고 여론몰이를 하는데 대해 취재 중에 만난 정부 관계자가 한 말이다. 납세 의무는 외면한 채 권리만 누리려는 구글의 태도를 꼬집은 것이다.
정부는 1966년부터 세금을 투입해 국내 지도를 구축해오기 시작했다. 1991~2001년까지는 1차적으로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 한국 지도의 디지털화 작업을 수행했다. 이듬해부터는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지명 정비 작업을 하는 등 매년 500억~800억 원 가량의 재원을 쏟아 부었다. 이런 식으로 25년 간 정밀한 지도를 만드는 데 1조 원 넘는 돈을 들였다.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사업자들은 이 지도 정보를 가져다가 부가가치를 창출했고, 수익에 합당한 세금도 납부해 왔다. 그렇게 걷어 들인 세금은 직·간접적으로 국가 지도의 품질 개선하는 데 다시 쓰였다.
구글 측은 세금 공개에 대해 여론이 들끓어도 꿈쩍도 않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기관 다음소프트가 지난달 2~17일 구글 지도 반출에 관한 뉴스, 뉴스 댓글, 블로그, 트위터 등 글 1만4078건을 분석한 결과 조세와 관련해 비판적인 언급이 달린 글이 7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측이 내놓은 답변은 “한국을 포함해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나라에서 해당 국가의 세금 법규를 준수하고 있다”는 말 뿐이다.
국토교통부 등 8개 부처가 모인 지도국외반출협의체는 25일까지 지도 국외 반출에 관한 최종 결론을 내린다. 반출 여부를 결정할 때 안보 문제뿐만 아니라 납세 의무에 관한 부분도 비중 있게 고려돼야 마땅하다.
신무경 기자 fight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