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Gettyimages이매진스
리우부터 전자 헤드기어 도입
양말 센서 7개서 11개로 늘어
상대 발에 스치기만 해도 실점
한국태권도가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 ‘적응’이라는 익숙한 과제와 맞닥뜨렸다. 4년 전 런던올림픽과 견줘 많은 것이 달라졌는데, 그 중 가장 큰 변화는 전자 헤드기어다. 전자 헤드기어는 2014맨체스터그랑프리시리즈에서 처음 도입됐고, 올림픽에선 이번이 처음이다.
태권도대표팀은 런던올림픽 때 몸통 전자호구 적응에 무척 애를 먹었다. 금메달과 은메달 1개씩만을 따내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거둔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당시에는 몸통에만 전자호구시스템이 적용됐고, 머리 공격에 대한 득점 여부는 심판들이 직접 판단했기 때문에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 이번에는 전자 헤드기어를 도입하면서 비디오판독으로 가려내기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판정을 내릴 수 있으리란 기대가 크다.
런던올림픽 남자 58kg급 은메달리스트 이대훈(24·한국가스공사)은 “전자호구가 도입됐다고 경기력이 떨어진 것은 불리한 것이 아니라 적응에 실패한 것이다”며 “과거처럼 빠른 경기가 나오지 않더라도 주어진 환경에 맞게 해야 한다. 어떤 시스템이 적용되든 내가 할 것만 잘하면 절대 지지 않는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강산 기자 posterbo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