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당 강령 속 ‘노동자’ 문구의 삭제 여부를 17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결론 내리기로 했다. 그러나 8·27전당대회를 앞두고 김상곤, 이종걸, 추미애 후보(기호순) 등 당권 주자들이 노동계 출신 대의원의 표심을 의식해 노동자 문구 논란을 적극 활용하면서 논란은 커지는 분위기다.
더민주당 지도부는 16일 ‘노동자’라는 문구를 당 강령에서 삭제하는 안은 실무진에서 나온 안일 뿐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라고 설명했다. 박광온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노동자 문구 삭제 건은 당 지도부, 비대위 대표 등에게 보고 되지 않은 초안”이라며 “비대위과 당무위원회 의결 과정에서 의견을 반영해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김 후보는 이날 라디오에서 “(노동자 문구를 삭제하는) 이 문제는 제가 가장 먼저 제기해 쟁점이 됐다”며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지 않으면 민주주의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 후보는 전날 “노동자 문구 삭제 말고도 10·4 남북정상선언의 정신이 담긴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라는 단어가 빠진 것도 잘못”이라며 강령 수정 문제를 더 확대시켰다. 이 후보는 강령 전체를 재검토한 뒤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당 대표 후보들이 노동계 출신 인사들을 앞다퉈 캠프에 영입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힌다. 이 후보는 금융노련 출신의 김기준 전 의원을 대변인으로 영입했다. 추 후보는 노동계 비례대표 후보였던 이수진 의료산업노련위원장을 공동 대변인으로 추가 선임했다. ‘전태일을 따르는 사이버 노동대학’ 총장 출신인 김 후보는 소장파 노동경제학자들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