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감독’ 김인식 감독이 또 ‘오른손 투수’ 타령이다. 지난해 프리미어12(국제 야구 대항전) 때도 그러더니, 내년 제4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표팀 사령탑 취임 때도 “쓸만한 우완 투수가 없다”고 장탄식이다. 해외 도박 문제로 ‘뜨거운 감자’가 된 오승환(세인트루이스)을 “절실히 필요한 선수”라면서 총대를 메고 나서기까지 했다. 그만큼 호출할 오른손 투수가 없다는 뜻이다.
김광현(SK), 양현종(KIA), 장원준(두산)……. 사실 국제대회에 내세울만한 투수를 꼽아보면 모두 왼손잡이다. 야구는 투수 놀음이다. 승부의 기본인 투타 대결 때 ‘왼손과 오른손잡이’를 어떻게 맞붙이냐가 승패를 좌우한다. WBC같은 단기전 승부에선 더욱 그렇다. 오른손잡이 투수가 없으면 한쪽 날개가 꺾인 것과 같다.
우완 투수 기근? 아무리 봐도 이상한 문제다. 한국의 인구 중 오른손잡이가 95%이고, 왼손잡이는 5%에 불과하다. 야구에선 75 대 25 정도라고 하지만, 그래도 오른손 자원이 없다는 건 확률상 쉽지 않다. 오른손잡이가 태생적으로 열등한 것일까? 과거엔 선동열, 최동원 등 오른손 정통파 투수들이 리그를 대표했다. 그렇다면 그 많은 우완 투수들은 다 어디로 간 걸까.
김현수(볼티모어)가 선구자 격이니, 대략 10년 정도 됐다. 고교 야구에서 알루미늄 배트를 버리고, 나무배트를 쓴 시기와 일치한다. 반발력이 낮은 나무배트 시대가 되면서 고교 야구는 거포보다는 단타를 노리는 컨택형 타자에게 해법을 찾았다. 공을 친 뒤 왼손 타자는 오른손 타자보다 1루에 0.1초정도 빨리 도달한다. 아무래도 안타 확률이 높다. 게다가 천적인 왼손 투수도 적었다. 너도나도 왼손으로 바꾸면서 생태계가 달라졌다.
천적인 왼손 투수의 몸값도 올라갔다. 어느 팀이든 이기기 위해선 왼손 투수 육성에 공을 들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왼손타자에 상대적으로 약한 오른손 투수들은 위축됐다. 당장의 승리에 집착한 지도자들은 오른손 투수들에게 직구보다는 포크볼 등 변화구를 더 많이 던지게 했다. 오른손 정통파 투수는 강속구 투수로 성장할 기회를 박탈당했다. 사이드암이나 잠수함 투수로 아예 폼을 바꾸는 경우도 늘었다.
결국 오른손 투수들은 적당한 스피드의 직구에, 몇 가지 변화구를 갖춘 ‘그저 그런’ 투수들로 하향 평준화됐다. 쓸만한 오른손 투수는 그렇게 사라졌다.
일본 야구도 우리 이상으로 기교를 중시하는 것 같지만, 아마추어 투수에게는 회전이 좋은 직구를 우선 강조한다. 다르빗슈 유(텍사스), 다나카 마사히로(뉴욕 양키스), 오타니 쇼헤이(니혼햄) 등 굵직한 오른손 투수들을 계속 배출하는 이유다.
윤승옥 채널A기자touch @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