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
그럼에도 요리와 식사는 진지한 미학적 관심을 끌 만한 삶의 영역입니다. 미학(aesthetics)이란 말은 일상으로부터 멀리 있는 듯한 학술 용어입니다만, 그것이 우리의 감각에 관한 것이라면 좀 더 친근해질 수 있습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상 오감이라고 해서 사람의 기본 감각으로 알고 있지요. 우리가 미학(美學)이라고 번역해서 쓰는 ‘에스테틱스’라는 말은 원래 ‘감각’이라는 어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직역하면 ‘감각학’이 됩니다. 다만 역사적으로 시각예술의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과 비평을 논하는 학문으로 미학이 발전해왔기 때문에 좁은 의미로 번역해서 써온 것 같습니다.
청각예술에서는 음악의 미학이 중요합니다. 그러고 보니 전통적으로 중요한 예술 분야는 인간의 감각 가운데서 시각 또는 청각처럼 어떤 하나의 감각을 미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군요. 고대로부터 연극과 무용은 시각과 청각의 종합예술이었으며, 19세기 말 이후에 영화와 다양한 공연예술이 이에 가세해왔습니다.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고 어폐가 있습니다만 요즘은 영화의 ‘4차원(4D) 상영’으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오감이 모두 동원되지는 않습니다.
식사를 즐긴다고 하면, 미식가나 식도락을 말하는 것 아니냐고 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대단한 미식가가 아니더라도 식사에는 ‘감각적 즐김’이 암암리에 따라옵니다. 맛없는 음식을 계속 먹을 수는 없고, 맛있게 차려 놓은 음식을 맛없게 먹을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 각자는 안 그런 척할 수도 있지만 사실 어느 정도 일상의 미식가입니다.
철학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인지과학이 중요합니다. 음식 재료를 구하고 선별하며 요리해서 먹는 과정이 오감을 모두 동원한다면 그것은 인간의 인지능력 발달과 밀접할 수밖에 없습니다. ‘요리·음식·식사가 인간의 인지능력 향상의 원천’일 수 있다는 현대과학의 가설을 추론적으로 수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요리 과정에 의미 있고 재미있게 참여하면 인지능력을 증진시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과학적 조언’도 들어둘 만합니다.
곧 추석입니다. 축제는 요리의 문화성과 식사의 사회성이 잘 드러나는 때입니다. 학자들은 축제와 인지활동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에는 나이 구분 없이 남녀 모두 요리와 식사의 인지활동에 기꺼이 참여해볼까요.
김용석 철학자·영산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