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5차 핵실험 국제사회 딜레마]北 핵탄두 소형화 실험 파장
특히 북한이 한국과 주일미군, 괌 기지를 겨냥한 핵미사일을 실전 배치하는 등 ‘핵무장력’을 입증한다면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해 온 국제사회가 ‘전략적 딜레마’에 빠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 등 흔들림 없는 안보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핵위협을 일삼는 북한을 인도와 파키스탄처럼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면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체제인 핵확산금지조약(NPT)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 김정은의 끝없는 핵 집착
특히 핵실험 2주 전인 8월 말에는 핵무기 병기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당당한 군사대국으로 보여줄 수 있는 모든 ‘사변적인 행동조치’를 계속 할 것을 지시했다. 군 당국자는 “김정은은 2016년을 핵무기화 달성의 해로 정하고, ‘마이웨이식’ 핵개발 스케줄을 착착 진행 중인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핵실험은 북한 내부적으론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의 북핵 불용 등 국제사회 압박에도 굴하지 않겠다는 김정은의 지도자상을 부각하는 한편 핵능력 진전 과시, 대남 긴장 고조를 통한 남북 대화 압박 의도가 담긴 것으로 정보 당국은 보고 있다. 나아가 최단 기간 내 핵무장력을 극대화해 사실상의 핵보유국에 오른 뒤 올해 대선을 마치고 내년에 새로 들어서는 차기 미국 행정부와의 핵군축 협상을 노리고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추가 핵실험 가능성
북한은 이날 핵실험을 통해 소형화, 경량화, 다종화된 각종 핵탄두를 필요한 만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주장했다. 핵탄두를 스커드와 노동, 무수단 등 각종 탄도미사일에 실을 수 있을 만큼 작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얘기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