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사태 책임론 불거져… 불씨 커지기전 추가대책 고민
한진그룹 고위 관계자는 17일 “대통령 발언이 나온 뒤 한진해운 사태가 그룹 전체 위기로 번지는 것은 아닌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연휴가 끝나면 그룹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내놓기 위해 어떤 식으로든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진그룹은 대한항공이 한진해운 보유 해외 터미널 지분을 담보로 600억 원을 지원하고 조양호 그룹 회장이 400억 원 상당의 사재를 출연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조 회장의 사재 출연금만 13일 한진해운에 입금됐을 뿐 600억 원 지원은 ‘배임’ 소지 때문에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재계에서는 대통령의 ‘작심 비판’이 공정거래위원회가 진행 중인 일감 몰아주기 의혹 조사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공정위는 조 회장의 자녀들인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과 조원태 대한항공 부사장에 대한 검찰 고발을 검토해 왔다. 한진그룹으로서는 대한항공 등 주력 계열사들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형성되는 것도 큰 부담이다.
한진해운은 조 회장 사재 400억 원과 최은영 유수홀딩스 회장(전 한진해운 회장)이 내놓은 100억 원을 합친 500억 원을 선박 하역작업 등에 서둘러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17일까지 가압류 중이거나 하역작업을 하지 못한 채 해외 항만 인근에 대기 중인 집중관리 대상 선박 34척(컨테이너선 기준)을 모두 정상화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미국, 일본, 영국, 싱가포르 등 4개국에서 스테이오더(압류금지 명령)를 발부받은 뒤에도 하역작업은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진해운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컨테이너선 37척 중 22척은 매각하고 15척만 남기는 구조조정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1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그러면서 WSJ는 세계 7위였던 한진해운이 한국 수출품을 외부로 실어 나르는 소규모 해운사로 전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한진해운은 “보유 선박 매각 등 구조조정은 파산법원에서 청산이 아닌 기업회생을 결정한 뒤에야 진행될 사항”이라며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물류대란을 수습하기 위해 투입된 현대상선의 두 번째 미주 항로 대체 선박은 18일 부산을 떠나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향한다. 유럽 항로 대체 선박들은 이달 말에나 일정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