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횡설수설/이진]지하 생활

입력 | 2016-09-24 03:00:00


 

시인 김지하의 본명은 김영일(金英一)이다. 지하(芝河)는 그가 스물두 살 무렵 스스로 지었던 필명이다. 새파란 대학생이던 그가 서울 동숭동 학림다방에서 시화전을 열면서 동명이인의 문사(文士)들을 의식해 이름을 바꿀 필요를 느꼈다. 어느 날 낮술에 취해 학림다방으로 걸어가던 중 ‘지하 다방’ ‘지하 이발소’ 등의 간판이 줄줄이 눈에 띄자 “옳다, 이것이다!”라고 결정했다. 하지만 필명의 저주였을까. 그는 펜 한 자루로 독재정권과 싸우다 30여 년의 끔찍한 지하시대(地下時代)를 겪는다.

 ▷맨주먹뿐인 사회 초년생이나 신혼부부들은 변두리 지하 단칸방에서 새 출발을 하는 일이 흔하다. 약간 돈이 모이면 창문 밖으로 오가는 이들의 다리가 보이는 반(半)지하방으로 지위(?)가 올라간다. 어둡고 축축해 곰팡이와 먼지를 정 못 견딜라치면 옥탑방으로 수직 상승한다. 같은 지하라도 아시아 최대의 지하 쇼핑공간이라는 코엑스몰은 분위기가 180도 다르다. 실내조명으로 환하고 선선해 바깥 날씨와 상관없이 전천후 쇼핑이 가능하다.

 ▷북한 평양의 지하철은 핵 공격에 대비해 땅속 100∼150m에서 달린다. 단순 교통수단이 아니라 지하 군사용 시설과 연계돼 ‘초대형 벙커’로 기능한다. 지하철에서 다시 150m 정도 더 내려가면 평양을 거미줄처럼 연결하는 지하땅굴이 있다고 생전의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가 증언했다. 평양에서 약 40km 떨어진 자모산까지 이어지는 땅굴 안에서 깨끗한 샘물과 새파란 풀을 보았다고 하니 북 수뇌부는 유사시에 몇날 며칠이고 지하에서 버틸 수 있을 것 같다.

 ▷서울시가 2020∼2025년 시청역과 광화문역 사이를 지하로 잇고 주변 건물 지하와도 연결해 축구장 4배 크기의 지하 도시를 완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캐나다 몬트리올에는 혹한을 피하기 위한 ‘언더그라운드시티’가 있고 미국 뉴욕에는 버려진 전차터미널 지하를 공원으로 만드는 ‘로라인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가난한 개인이 견디는 지하 생활은 가혹할 수 있지만 자본이나 권력은 음습한 지하를 안온한 공간으로 바꾸는 능력을 지녔다.

이진 논설위원 lee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