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광화문에서/전승훈]밀정 황옥과 조선의 마지막 옹주

입력 | 2016-09-28 03:00:00


전승훈 문화부 차장

 “다음번엔 나도 내가 어떻게 변해 있을지 모르겠다.”

 영화 ‘밀정’에서 송강호가 읊은 대사다. 조선총독부 경무국 경부로서 독립군의 밀정 역할을 맡게 된 그의 흔들리는 눈빛에서 감동을 느꼈다. 영웅주의, 애국주의가 아닌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의 치열한 고뇌가 느껴졌기 때문이다. 나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은 21세기 현대인에게도 계속되는 고민의 주제다.   

  ‘밀정’은 1920년대 조선을 발칵 뒤집어 놓았던 의열단의 경성 폭탄반입 사건이 배경이다. 황옥 경부(영화 속 이정출)를 비롯해 김시현(김우진), 김원봉(정채산), 현계옥(연계순) 등 영화 속 주인공의 모델도 실존 인물들이다. 황옥 경부는 과연 의열단이었는지, 일제의 밀정이었는지 확인해보고 싶어 당시 발간됐던 동아일보를 뒤져 봤다.

 당시 경찰에 압수된 물품에는 폭탄 36개, 폭탄장치용 시계 6개, 권총 5자루, 실탄 155발, 뇌관 6개,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문’ 900여 장이 들어 있었다. 1923년 7월 동아일보는 “이 사건에서 경기도 경찰부 경부 황옥이 함께 체포된 것은 가장 괴이한 일”이라고 보도했다.

 공판에서 김시현은 황옥의 도움으로 폭탄을 싣고 국경을 넘을 수 있었다고 증언했지만, 황옥은 최후진술에서 “의열단을 일망타진하면 경시까지 승급을 시켜 줄 것으로 믿고 한 일”이라며 눈물을 흘리며 읍소했다. 이에 방청객에선 비웃음이 쏟아지고, 의열단 단원들이 분함을 참지 못해 온몸을 부르르 떨었다고 동아일보는 전했다.

 그러나 결국 재판장은 김시현과 함께 황옥에게 징역 10년의 중형을 내린다. “의열단원 황옥이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는 ‘호자식(虎子式) 병법’을 내세웠지만 법관의 안(眼)으로 보면 중대한 정치범인이 명백하다”는 이유였다.

 독립운동가를 잡아넣던 황옥이 의열단 사건에서 유죄를 받자 조선 민중들의 시각은 크게 달라졌다. 동아일보 지면에는 “철창에 갇힌 ‘의열단원’ 황옥의 처와 굶주린 아이를 돕고 싶다”며 백미 대두 한 말, 또는 돈 일원을 보내왔다는 독지가들의 성원이 연일 답지했다.

 일제강점기를 그린 영화에서 독립운동가가 아닌 일제 총독부의 경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여유와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닌가 싶다. 파브리스 비르질리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교수는 나치 점령기 독일군과 관계를 맺었던 프랑스 여성이 낳은 자녀들에 대한 사회적 멸시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그는 “감추려고만 했던 우리 내부의 비극적 역사를 직시하는 데는 수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힘겨운 현실에서 우리는 점점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싶어 한다. 인터넷 공간에서도 서로 똑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끼리만 모여 자신의 생각을 확인할 뿐이다. 영화 ‘덕혜옹주’를 보고 실망했던 점도 바로 이것이었다. 실제 역사를 직시하지 않고 “이랬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희망사항을 그린 영화였기 때문이다.

 일제의 보호하에 있던 영친왕이 독립운동을 위해 상하이 망명을 시도하고, 덕혜옹주가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들 앞에서 연설하고, 한글학교를 세우고…. 안타까운 역사를 다시 쓰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허탈한 자기 위로일 뿐이다. 당시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영화에서처럼 왕정 복귀를 바라지 않았다. 임시정부 헌법에도, 동아일보 창간사에도 ‘민주주의’를 지지한다는 글귀가 선명하다. 
 
전승훈 문화부 차장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