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약물 후유증’ 본즈, 머리 커지고 고환 축소 고통

입력 | 2016-09-29 03:00:00

[추방 금지약물]<3>약물이 남긴 상흔




국정감사 도마 오른 애너볼릭 스테로이드 부작용 금지 약물은 체내 모든 세포를 자극해 비정상 호르몬 상태로 바꿔 각종 질환을 일으킨다. 대표적 금지 약물인 애너볼릭 스테로이드의 위험성은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지난해 9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조정식 의원이 애너볼릭 스테로이드 주사액과 알약을 들어 보이며 부작용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동아일보DB

 메이저리그 개인 통산 최다 홈런(762개) 기록을 갖고 있는 전설적인 홈런 타자 배리 본즈(52·현 마이애미 코치)는 요즘 생애 가장 큰 사이즈의 모자를 쓴다. 1993년 샌프란시스코로 이적할 때 그는 57.7cm 둘레의 모자를 썼다가 2007년 팀에서 나올 당시에는 58.8cm 모자를 썼다. 그리고 현재 모자 사이즈는 60.6cm로 더 커진 것으로 전해진다.

 본즈는 현역 시절 근육 강화제인 애너볼릭 스테로이드를 투여한 의혹을 받았다. 애너볼릭 스테로이드는 근육을 빠르게 생성하고 골밀도를 늘리는 데 최적화된 약물이다. 그 대신 심장 등 자율신경계와 손, 발 등을 비대화시키고 생식기를 이상하게 변하게 한다. 미국 현지에서는 본즈의 모자 사이즈 증가를 일종의 약물 부작용으로 보고 있다. 본즈는 이미 1994년부터 2003년까지 9년간 교제했던 여자 친구를 통해 현역 시절 어깨와 등에 여드름 증세, 탈모, 고환 축소 등 심각한 약물 후유증을 겪은 사실이 공개됐었다.

 지난해 금지 약물 사용에 대한 위증 등의 혐의로 기소된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그가 약물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믿는 미국 팬은 거의 없다. 이 여파로 본즈는 2013년 명예의 전당 입회 자격을 얻었지만 가입 투표에서 30%대의 저조한 득표율로 번번이 가입에 실패했다. 본즈는 올해 초 “신은 명예의 전당 자격을 안다”며 개의치 않는 듯한 발언을 했지만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다. 그는 이미 약물 때문에 많은 것을 잃었다.

○ 모든 세포를 교란


 본즈뿐 아니라 많은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애너볼릭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2000년대 초반은 ‘약물의 시대’로 불린다. 이 약물은 단백질 합성을 촉진해 근육을 빨리 만들어준다. 수영의 박태환이 맞았던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포함된 애너볼릭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다. 효과가 탁월한 만큼 부작용의 범위도 크다. 변동원 순천향대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밝혀지지 않은 부작용이 많아 의사들이 유일하게 벌벌 떨면서 쓰는 약이 바로 스테로이드”라고 위험성을 전했다. 진영수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위원장은 “애너볼릭 스테로이드는 신체 모든 세포에 침투해 원래 체내에 유지되던 각종 호르몬과 세포 균형을 전부 깬다고 보면 된다”며 “중독이 되면 뇌뿐만 아니라 간, 콩팥, 전립샘 등에서 문제를 일으킨다”고 전했다.

 보디빌딩 선수로 7년간 활동 중인 A 씨(28)는 애너볼릭 스테로이드를 투약했다가 고환이 작아지면서 정자 수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부작용을 겪고 있다. 남성호르몬이 외부에서 들어오다 보니 신체 내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점차 줄면서 여성화 증상이 나타났다.

 A 씨는 “2년 전 결혼했는데 아직 아내가 임신이 안 되고 있다. 종아리 근육이 잘 안 커져서 1년에 2차례 정도 6주간 스테로이드 스택(Stack·투약 매뉴얼)을 실행한 것밖에 없는데 몸에 악영향이 왔다”며 “처음에는 스테로이드를 주사로 투입하지 않고 먹었다가 간 수치가 높아지기도 했다”고 전했다. A 씨는 가슴도 여성처럼 불거져 지난해 병원을 찾아 유방암 치료제인 항에스트로겐제와 놀바덱스를 처방받았다. A 씨는 조만간 병원에서 고환 크기를 원래대로 회복하는 융모성 성샘 자극 호르몬(HCG) 치료를 받을 예정이다. A 씨는 “큰 고민 없이 사용한 약물이 이렇게 내 몸을 바꿔놓을 줄은 몰랐다. 화려한 몸의 외형에만 신경 쓴 것이 후회스럽다”고 말했다.

○ 심리적 의존 효과 부추겨

 여성 보디빌더로 국내 각종 피트니스 대회 입상 경력이 있는 B 씨(27)는 지난 2년 가까이 스테로이드에 신경안정제까지 함께 투약했다가 우울증 증세가 찾아왔다. 무대 공포증이 있어 긴장감을 낮추려고 쓴 약 때문에 부작용을 얻었다.

 B 씨는 “대회에서 입상을 자주 해 얼굴이 알려지다 보니 ‘몸이 먼저냐 홍보가 먼저냐’라는 생각이 들어 혼란스러워졌다. 평소에는 약을 멀리해야 한다고 여기면서도 아침에 잠에서 깨면 다시 약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심리적인 안정을 찾기가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B 씨는 지난해 갑상샘에도 문제가 생겨 치료를 받았다.

 보디빌딩처럼 근육의 질을 겨루거나 빠른 피로 해소를 통해 운동량을 끌어올리고 싶은 선수들은 늘 스테로이드의 유혹을 받는다. 승리에 대한 집착이 강할수록 유혹에 쉽게 빠져든다. 국내 정상급 보디빌더들을 배출한 트레이너 C 씨는 “자신과 경쟁하는 선수가 이전 대회보다 더 좋은 근육을 선보이면 ‘약물을 했구나’라고 깎아내리면서도 약물의 효과를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에 결국 자신도 약물을 찾곤 한다”고 설명했다.

 김한겸 고려대 구로병원 병리과 교수(전 KADA 위원장)는 “심리적인 의존 효과는 결국 중독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금지 약물 투여를 넘어서 향후 자신의 몸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유전자 도핑까지 시도할 수 있느냐는 설문을 한 적이 있는데 80% 이상이 ‘찬성’이라고 답했다. 이제는 도핑을 잡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선수 스스로 약물이 내 몸의 사각지대를 꿰뚫고 지나가면서 어떤 일을 벌일지 모른다는 위험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영 기자 elegan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