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토록 참신한 부활이라니… ‘현대판 햄릿’ 탄생에 박수를

입력 | 2016-10-04 03:00:00

리뷰 / 연극 ‘함익’




서울시극단의 연극 ‘함익’ 중 주인공 함익이 제자인 연우의 햄릿 연기를 보며 아버지에 대한 복수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장면. 서울시극단 제공

 “사느냐, 죽느냐. 그건 문제가 아니야. 살아있는가, 죽어있는가. 그것이 문제야.”

 고전의 힘은 동시대성에 있는 걸까. 서울시극단의 신작 ‘함익’의 대사는 400여 년 전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의 명대사를 약간 비틀었는데도 2016년의 이야기처럼 들린다.

  ‘함익’은 ‘햄릿’의 시대 상황과 등장인물을 새롭게 바꾼 작품이다.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맞아 올해 ‘햄릿’ 작품이 숱하게 공연됐는데 ‘함익’은 결을 달리한다. 참신하고 독창적인 재해석에 박수가 절로 나온다.

 아버지를 살해한 숙부, 그리고 숙부와 결혼한 모친 때문에 괴로워하는 덴마크 왕자 ‘햄릿’은 2016년 한국 기업 마하그룹 가문의 장녀 ‘함익’으로 그려진다. 아버지가 이사장으로 있는 대학에서 연극학과 교수를 맡은 함익의 가슴속엔 늘 새어머니에 대한 복수의 칼날이 숨겨져 있다. 어머니의 비서였던 새어머니가 아버지와 불륜을 저지르고, 이를 참지 못한 함익의 어머니는 목숨을 끊었기 때문이다. 햄릿의 연인 오필리어를 떠올리게 하는 인물은 함익의 제자인 연우다. 함익의 고독한 내면세계는 연우를 만나면서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한다.

 기본적인 인물의 특징과 이야기 구성의 뼈대는 ‘햄릿’에서 따왔지만, 햄릿은 작품의 잔상 정도로만 남아있다. 하지만 극 후반부 함익이 연극학과 학생들의 ‘햄릿’ 공연에 아버지와 새어머니, 이복동생을 초대한 장면에선 원작 햄릿의 ‘극중극’이 떠오르며 대비된다. 원작 ‘햄릿’에선 숙부가 아버지를 죽였다고 의심한 햄릿이 아버지의 죽음을 비유한 연극을 숙부와 어머니에게 보여주며 숙부의 반응을 지켜본다. 함익 역시 어머니를 죽음에 이르게 한 장본인이 아버지와 새어머니임을 ‘햄릿’ 공연을 통해 증명하려 한다. 이 장면에서만큼은 원작 ‘햄릿’과 ‘함익’이 거울 앞에 마주선 듯하다.

 극본을 쓴 김은성 작가와 김광보 연출의 합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다만 함익 역의 배우 최나라의 연기는 다소 아쉬웠다. 함익의 캐릭터가 고독하고 차가운 측면이 있는데 그의 연기는 다소 부자연스럽고 과한 힘이 실려 있었다. 최나라는 관객에게 ‘함익’이 아니라 ‘함익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는 배우’라는 느낌을 줬다. 10월 16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2만∼5만 원. 02-399-1111

김정은기자 kimj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