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글 톡톡]신비의 문자… 비틀어 쓰는 한국인, 뜻 몰라도 감탄하는 외국인

입력 | 2016-10-07 03:00:00


일러스트레이션 권기령 기자 beanoil@donga.com

《 우리는 자주 한글의 위대함과 그 가치를 잊고 지냅니다. 올해 한글날 570돌을 맞아 우리 민족의 유산, 한글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담아 보았습니다. 》
 
일상에 녹아든 언어 변형
 
 “중학교로 교생 실습을 나갔을 때 한글 파괴 현상에 눈살이 찌푸려졌던 적이 많았어요. 몇 년 사이에 훨씬 심해졌더라고요. 아이들이 ‘노잼’, ‘개극혐’, ‘존예’ 등과 같은 말들을 입에 달고 지내더라고요. 아이들의 언어를 보면 우리말의 미래가 걱정됩니다.” ―이지현 씨(25·국어 교직이수 대학생)

 “최근 한글 파괴 현상에는 부정적인 모습도 비치지만 어떤 면에서는 ‘재치 있는 일탈’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생각해요. 우리말 사용에서 또 다른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죠.” ―김지후 씨(37·학원 강사)

 “한글 파괴에서 가장 아쉬움을 느끼는 대상은 ‘언론’입니다. 설령 일상에서 한글 파괴 현상이 만연하더라도, 대중적인 영향력을 지닌 언론만큼은 바른 언어를 써야 옳은 거죠. 그런데 요즘은 오히려 흥미를 위해 바르지 못한 말들도 방송 자막이나 기사에 담아내는 것이 참 아쉬워요.” ―김형배 씨(51·국립국어원)

 “소셜미디어 사용이 늘면서 젊은 세대들의 표현 욕구가 증가한 결과 한글이 파괴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앞으로 해야 할 것은 명확합니다. 적어도 무엇이 올바른 우리말이고, 무엇이 변형되어 잘못 사용되어지는 말인지를 구분하는 것. 그래야 원래의 한글, 원래의 국어의 모습과 의미를 잃지 않을 수 있죠.” ―이호영 씨(41·한우리독서토론논술 연구원)

 “여론조사를 해 보니 신조어, 통신어 등을 한글 훼손이라고 지적한 의견이 59.6%에 달했습니다. 다만 옳고 그름을 떠나 최근 변화된 가치관과 문화를 반영한다는 의견 역시 66.3%나 됐습니다. 어느새 우리의 일상에 이런 말들이 녹아든 것 같습니다.” ―송으뜸 씨(32·마크로밀엠브레인 리서치 과장)
 
외국인에게도 인기 으뜸
 

 “한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한류 때문입니다. 처음 본 한국 드라마 ‘궁’에 나온 한국 전통 의상이 독특하고 예쁘다고 느꼈지요. 한국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레 한글에 대한 애정으로 이어지더군요. 결국 이렇게 한글을 익히고 있죠.” ―다오티휭마이 씨(21·베트남 출신 연세대 한국어학당 재학생)

 “한글은 확실히 배우기 쉬워요. 한자나 일본어는 까다로웠거든요. 한글은 소리를 바탕으로 만든 글자라는 점에서 외국인들이 배우기 쉬운 것 같아요. 어떻게 입 모양을 통해 글자를 만들 생각을 했는지 세종대왕은 동양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느껴집니다.” ―아드리아나 씨(21·이탈리아 유학생)

 “한글에 대해 무지했던 외국 학생들이 1년 반도 안 되는 과정에서 수준급의 한국어 실력을 갖춰 졸업하는 걸 보면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 글자인지 느낄 수 있어요.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늘어난 것도 한글의 위상이 달라졌다는 얘기죠.” ―김미옥 씨(56·연세대 한국어학당 교학부장)
 
한글 행사, 창의성 더욱 필요

 “지금은 세계화 시대잖아요. 한글 행사를 진행할 때 외국인들이 참여하면 한글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다고 생각해요. 서대문구처럼 외국인학교가 많이 있는 곳도 있잖아요.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려면 외국인들의 참여를 적극 장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고재용 씨(47·서울 서대문구청 홍보관)

 “한글 행사에서 영상 같은 것들을 보여주기만 하는 방식이 아쉬웠습니다. 한글은 일상에서도 매일 보는 거잖아요. 아이들이 한창 글을 배울 때라서 직접 체험을 하게 해주고 싶었거든요. 관람 일색인 한글날 행사를 다양하게 펼쳤으면 좋겠어요.” ―김지혜 씨(32·주부)

 “한글은 한민족의 가장 큰 문화유산이죠. 그래서 한글 관련 행사를 준비할 때마다 한글 그 자체의 의미에 더하여, 우리 민족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위상이 드러날 수 있는 행사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한글 가치가 무궁무진 하니까요.” ―이정미 씨(43·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장)
 
타국의 소통 기호로 각광
 

 “두 달 동안 한국에 머물 계획이던 싱가포르 분이 한글 타이포그래피를 배우고 싶다고 학원에 직접 찾아왔어요. 최근 싱가포르에서 한류에 대한 인기가 높아져 한글을 광고에 접목시키고 싶다고 하셨죠. 한글도 글로벌 시장에서 하나의 기호로서 큰 가치를 지니게 된 것 같습니다.” ―김미연 씨(37·캘리그래피 학원 강사)

 “국내 패션 잡지가 진행한 린지 로핸과의 인터뷰에서, 한글 디자인이 포함된 옷을 포함해 옷 10벌 정도를 나열해 놓고 어떤 옷을 가장 입고 싶은가를 물어봤대요. 린지는 단번에 한글 옷을 골랐죠. 한글은 이렇게 해외 유명인들의 눈길도 끌 정도입니다. 우리 스스로가 충분한 자긍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봉 씨(패션디자이너)

 “최근 한류 열풍과 같은 문화 현상을 무시하고 한글 알리기를 할 수는 없겠죠. 하지만 한글은 글자 자체의 한 획 한 획에 담긴 미적 가치로서 충분히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해요. 세계의 어느 언어와도 비견될 수 없는 차별적인 미적 가치, 그것이 한글과 관련된 상품들을 찾게 만드는 것이라 볼 수 있죠.” ―박지영 씨(41·인사동 찻집 운영)
 

나부터 한글 사랑
 

 “남편이 외교관이라 주로 해외에 가 있어요. 그런 남편에게는 한국을 대표한다는 자긍심을, 그리고 해외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만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고 싶어 생각해 낸 것이 한글 넥타이였어요. 그 넥타이를 매고 나가면 그 신선함에 반해 타국 외교관들도 선물해 달라고 할 정도로 성공적인 아이디어였습니다.” ―최모 씨(47·주부)

 “학교에서 진행하는 언어 교환 프로그램에서 몽골 친구와 짝이 되어 서로의 언어를 가르쳐 주기로 했죠. 제 전공이 국문학이었던 만큼, 열과 성을 다해서 한글을 가르쳐 줬어요. 한글에 대한 애정이 전해졌는지, 그 친구가 한국어능력인정시험(ToKL)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더군요.” ―김인혜 씨(26·대학생)

 “프랑스에 교환학생으로 갔을 때 ‘한글 알리미 봉사활동’을 한 적이 있어요. 과거에는 한글을 배우려는 프랑스 학생들이 많지 않았지만, 요즘은 케이팝이 대세가 되면서 학생들이 많이 늘었다는군요.” ―이지훈 씨(28·대학생)

 “작년 한글날에 봉사활동 단체에서 ‘바른 말 고운 말 바로 알기’ 캠페인을 진행했어요. 고운 뜻을 가지고 있거나 말 자체가 예쁜 느낌을 전해 주는 우리말 등을 알리는 퀴즈대회였죠. 일회성 이벤트였지만 외국어·외래어가 난무하는 일상 속에서 한글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해요.” ―김진영 씨(24·대학생)

 “한글날에 아이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해주고 싶어서 세종대왕릉이 있는 여주를 찾아가기로 했습니다. 여주에서 열리는 한글 행사는 광화문에서처럼 그렇게 대형 행사는 아니겠지요. 하지만 한글을 창조하신 세종대왕의 무덤을 직접 찾는 것보다 특별한 경험은 아이들에게 없을 거라 생각해요.” ―김민혁 씨(34·회사원)
 
오피니언팀 종합·최형진 인턴기자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