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40조를 넘는 사교육 시장의 병폐는 누구의 책임일까. 그건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정부의 책임이고, 교육계의 책임이고, 사회의 책임이고, 학부모의 책임이다.’―(조정래·풀꽃도 꽃이다·해냄) 》
낯선 이를 만났을 때 대화를 풀어 나갈 소재를 찾는 것은 여간 고역이 아니다. 어색한 분위기를 풀 만한 농담이나 상대가 공감대를 가질 만한 이야기 한두 개쯤은 있어야 대화가 술술 풀린다. 돌이켜 보면 같은 학교를 나오지 않은 사람과 학창 시절에 대해 얘기해 본 기억이 별로 없다. 모두가 10대를 거쳤을 텐데도 어색한 자리에서 낯선 이에게 그 시절에 대해 말하기가 꺼려진다.
그것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조정래 신작 ‘경쟁에 내몰려 피폐해진 아이들’에서 제시된 주제가 이를 잘 설명해준다. 한국인에게 초중고 시절은 대학이라는 관문을 향해 가는 길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그 시절의 삶은 능동적이라기보다 학교와 부모에 의해 만들어진 수동적인 삶이 된다. 타의에 의해 대학이라는 종착지를 향해 허겁지겁 달린 시절에서 추억거리로 건질 만한 게 얼마나 될까.
소설은 2016년 대한민국 아이들의 삶 역시 이전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학교폭력이 난무하는 교실과 문제가 생기면 땜질식 처방으로 일관하는 학교, 자식의 일거수일투족을 손아귀에서 놓지 않으려는 학부모들이 등장한다.
황성호 기자 hsh033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