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8000억 公자금중 83% 회수
4전5기의 우리은행 민영화 과정은 험난했다.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예금보험공사 보유 지분 29.69%를 매각하기로 결정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민영화의 퍼즐’이 완성됐다.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으로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가 설립된 뒤 우리은행은 ‘정부 은행’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지냈다. 2010년부터 4차례에 걸쳐 ‘주인 찾기’에 나섰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대한제국 시절인 1899년 세워진 대한 천일은행. 광복 후 한국상업은행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우리은행의 암흑기는 1997년 외환위기로 시작됐다. 당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8% 이하 은행을 정리한다는 금융 당국의 방침에 따라 상업은행은 한일은행과 합병됐다.
정부의 품에 들어간 우리은행이 민간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은 험난했다. 2010년 처음 경영권 매각을 시도했지만 몸집이 워낙 큰 탓에 인수할 만한 곳이 나타나지 않았다. 2012년까지 3차례에 걸친 민영화 시도는 경쟁 입찰이 성립되지 않아 모두 유찰됐다. 3차 매각 때는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4차 민영화 시도는 계열사를 분리하는 ‘쪼개 팔기’ 방식으로 진행됐다. 2014년 증권과 지방은행 계열사 매각을 통해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경남은행, 광주은행이 각각 새 주인을 찾았다. 우리은행은 경영권 지분(30%)과 나머지 지분(26.97%)을 따로 매각하는 ‘투 트랙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5.94%의 소수 지분만 팔렸다. 이번 5번째 매각에서 경영권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카드를 꺼내 든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