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근거없는 주장에 공포심 금물… 감염지역 조류 접촉해선 안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남 무안군과 충북 청주시, 경기 양주시로 확산된 것이 22일 확인되면서 사람에게 전염되는 게 아니냐는 공포심이 커지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사람도 감염된다” “달걀을 먹지 마라” “공기로도 전파된다”는 우려의 글들이 급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AI는 닭, 칠면조, 오리, 철새 등 조류에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폐사율 등 바이러스의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나뉜다.
AI가 인체에도 감염되는 것은 사실이다. ‘H5N1형’ AI의 경우 2003년부터 올해(10월 기준)까지 전 세계적으로 총 856명이 감염돼 절반인 452명이 사망했다. ‘H7N9형’ 역시 전 세계에서 800명의 감염자가 발생해 40%(320명)가 사망했다. 현재 국내에서 유행 중인 ‘H5N6형’은 2014년에 발생해 중국에서 15명이 감염됐고 9명이 숨졌다.
그러나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 AI는 감염된 조류의 몸, 오염시킨 먼지, 물, 분변 등을 만질 때 전파된다. 홍정익 질병관리본부 위기대응총괄과장은 “AI가 공기로 전파될 수 있다는 얘기는 전혀 검증되지 않았다”며 “직접 접촉으로만 감염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가금류 농장, 철새 도래지는 방문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철새 도래지에서는 야생조류와 접촉하지 않아도 분비물, 배설물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동물원, 자연학습장 등의 닭, 꿩, 칠면조 등에도 다가가지 않는 게 좋다.
닭고기, 오리고기는 익혀 먹으면 문제가 없다. 75도 이상에서 5분만 가열해도 바이러스가 죽기 때문이다. 달걀도 안전하다. AI에 걸린 닭은 달걀을 낳지 못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가금류와 접촉한 뒤 발열, 기침, 목 아픔 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보건소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