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박윤석의 시간여행]왕궁 앞의 시위

입력 | 2016-11-28 03:00:00


1898년 서울 종로에서 열린 만민공동회.

 시위대가 왕궁 앞으로 모여들었다. 1000명인지 1만 명인지 세기도 힘든 인파가 궁궐과 대치하듯 긴 담장을 따라 속속 늘어서 지금의 덕수궁 남쪽 돌담길을 가득 채웠다. 11월 26일, 토요일 오후였다.

 때는 1898년. 임금의 거처이자 국정의 중심인 지엄한 공간에 관리도 아닌 일반 백성이 이처럼 운집하는 것은 희대의 사건이었다. 종로 네거리에서 집회 도중 급작스러운 왕의 면담 제안을 받고 건너온 군중이었다. 3주 연속 소요를 일으키며 들끓는 정국에서 국왕이 시국 수습책으로 꺼내든 특별 담화를 듣고자 함이었다. 오늘날 역사 교과서에서도 중점 취급되는 ‘만민공동회’의 사람들이었다.

 대표로 선발된 200명이 지금은 사라진 궁의 남문 인화문에서 임금과 대면했다. 자주독립과 내정 개혁을 촉구하는 독립협회가 강제 해산된 이래 종로에서 정부 규탄 집회를 벌여온 만민공동회는 한때 대궐의 정문인 인화문 앞으로 진출했다가 무력 진압으로 다시 종로로 물러나 더욱 격앙한 상태에서 성토대회를 열고 있는 중이었다. 왕은 이런 요지로 말했다.

 “거듭 조칙을 내렸건만 따르지 않고 밤새 대궐문에서 부르짖고 종로 거리에 가설물을 설치하여 제 마음대로 도리에 어긋난 행패를 벌이며 시설을 파괴하기에 이르다니, 이 어찌 500년 전제정치의 나라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란 말인가.”(고종실록 1898년 11월 26일자)

 관련자 처벌과 정부 개혁 등을 촉구하는 그들을 향해 왕은 타이르듯이 전한다.

 “만백성의 죄는 나 한 사람에게 있다는 것을 오늘 크게 깨닫고 짐은 크게 부끄러워한다. 정부의 관리들이 짐의 뜻을 제대로 못 받들어 아래 사정이 위로 전달되지 못하고 소통이 되지 않아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는 결과가 되었다. 오늘 이후로 상하 모두가 신의(信義) 하나로 나아가자. 근거 없는 말을 너희들은 퍼뜨리지 말아다오. 상의 없이 정책을 펴는 일은 나도 없도록 하겠다.”  

 그러면서 엄중히 당부한다. “이후로는 권한과 분수를 넘어서는 일은 일절 없도록 하라.”

 그날 이후 독립협회가 기능을 회복하고 일련의 개혁 조치에 시동이 걸리는 듯했다. 그중 핵심은 전제군주제를 입헌군주제로 전환시켜 나가는 초기 단계로서 초보적 형태의 의회 구성을 도모하는 수순이었다. 그러한 정치혁명을 오랜 전통의 전제왕정이 수용한다는 것은 특단의 결단이 필요한 사안이었다. 한 달 후 약속은 깨졌고 계엄과도 같은 분위기 속에 모든 것은 이전으로 되돌려졌다. 50여 일에 걸친 만민공동회와 왕권의 긴장 속에 저물어간 1898년은 20세기 조선의 운명을 가름할 거대한 분수령이었다.

 7년 후 같은 날, 을사년의 11월 26일에 같은 궁궐의 동문 앞에서 망국의 조약을 되돌리라 촉구하며 철야 농성을 개시한 공직자들의 상소 시위와 비교하면, ‘만민(萬民)’이 앞날을 제시하며 일어선 이전의 집회와 시위는 더할 수 없이 낯설고 살벌한 집단행동이었다. 그런 만큼 또 기회와 선택의 문이 열려 있는 시기이기도 했다. 헌법이라는 권리장전도, 집회 및 시위와 언론의 자유도 꿈꿀 수 없던 시대의 시위는 목숨을 걸 정도로 위험하면서도 달리 방법이 없어 택하는 유일한 정치적 표현 수단이었다.
 
박윤석 역사칼럼니스트·‘경성 모던타임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