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은 어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서 “최 씨가 대통령과 굉장히 가까운 관계라 이럴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자신이 기획한 행사에 박근혜 대통령이 올 때마다 최 씨로부터 “VIP가 갈 것”이라는 연락을 미리 받았다고 한다. 그는 “최 씨가 문화창조나 콘텐츠와 관련해 내 생각을 좀 써달라고 해서 써준 적이 있다”면서 “그 내용 중 몇 부분이 대통령 연설에 포함돼 나온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최 씨의 요청을 받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추천했는데 관철이 됐고, 김상률 교육문화수석도 추천했다”는 말도 했다. 그간 보도된 내용 그대로 최 씨가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음을 입증하는 증언이다.
증인으로 나온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예상대로 “모른다”로 일관했다. 김영한 전 대통령민정수석이 작성한 비망록 내용들조차 “작성자의 주관적 생각이 가미됐다”며 부인했다. 그는 “최순실 씨를 알지 못한다”는 기존 입장도 되풀이했다. 최순실이란 이름조차 이번 사태가 터진 뒤 알았다고 주장했다가 여야 의원들의 끈질긴 질문 공세에 “(그 전에) 이름은 알았다”고 말을 바꾸었다. 그는 세월호 참사 당일조차 대통령 대면보고를 하지 않았고 대통령이 어디서 뭘 하고 있었는지도 몰랐다고 했다.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해야 할 비서실장으로서의 무능과 무책임을 드러낸 것이다.
이번 청문회는 몸통인 최 씨를 비롯해 우병우 전 민정수석,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 등 핵심들이 빠져 ‘맹탕’이었다. 국조특위는 최 씨에게 동행명령장까지 발부했지만 끝내 최 씨는 출석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최 씨를 알지 못한다는 김 전 실장 말은 물론이고 차 전 단장이 최 씨의 소개로 김 전 실장을 만난 경위 등도 검증이 안 됐다. 동계스포츠영재센터 지원금 횡령 의혹을 받고 있는 최 씨의 조카 장시호 씨는 “센터 설립 지원서를 최순실 이모의 지시로 김종 전 문체부 차관에게 냈다”고 했는데, 김 전 차관은 대부분의 의혹에 입을 굳게 닫았다. 국조특위는 19일 5차 청문회 때는 최 씨와 우 전 민정수석 등을 반드시 증언대에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