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재스민혁명 후 경제난… 가족 생계 위해 IS 용병으로

입력 | 2016-12-23 03:00:00

테러리스트가 된 튀니지 젊은이들
일하고 싶지만 직장 구할수 없어 절망감에 극단주의에 빠지기도




 중동 일대 민주화 열풍을 불러일으킨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 6년 후인 올해 12월. 튀니지 출신 아니스 아므리(24)는 독일 베를린 중심지에서 발생한 트럭 테러의 용의자가 됐다. 12명이 트럭에 치여 숨지고 48명이 다쳤다. 경제난이 극심하던 7년 전 튀니지를 떠난 그는 혁명 후 더욱 열악해진 고향을 등지고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투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는 IS가 소유권을 주장하는 회사에 다른 튀니지인들과 함께 몸담고 있었다고 한다.

 2010년 12월 튀니지 국화(國花)에서 이름을 딴 민주화 운동인 재스민 혁명은 6년이 지난 지금 사실상 실패로 역사에 기록되고 있다. 24년 동안 장기 집권한 진 엘아비딘 벤 알리 대통령을 축출시키며 일으킨 민주화 바람이 이집트 리비아 등으로 옮겨가 다른 독재정권을 몰락시킬 때만 해도 장밋빛 미래가 보이는 듯했다. 하지만 실업률은 15%를 넘어섰고 절망한 젊은이들은 극단주의에 빠져 IS 등 테러단체에 용병으로 투신하고 있다. 미국 보안 컨설팅 업체 수판그룹의 2015년 11월 통계에 따르면 튀니지인 6000명이 시리아로 건너갔다.

 중동 매체 알자지라가 만난 튀니지 남성 메디(가명·26) 씨도 재스민 혁명으로 벤 알리 대통령을 몰아낸 뒤 새로운 세상을 기대했다. 하지만 관광객이 대폭 줄고 국제사회가 불안한 시선을 거두지 못하면서 혁명 이후 경제는 오히려 나빠졌다. 당초 전기기술자 교육을 받았던 메디 씨는 2008년 사회에 나왔지만 일거리를 찾지 못해 백수로 지냈다.

 혁명한 지 1년도 안 돼 이웃 젊은이들이 속속 사라졌다. 메디 씨도 2012년 4월 ‘성전(聖戰)의 일원이 되고 싶다’며 리비아 시르테로 건너가 IS에 투신했다. 그는 시르테의 IS 병영캠프에서 군사훈련을 받으며 매달 월급으로 3000달러를 받았다. 튀니지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약 3000달러다. 평범한 국민이 1년간 벌 돈을 한 달 만에 손에 쥐게 된 것이다. 그가 IS로부터 받는 월급은 가족의 유일한 생계 수단이었다.

 메디 씨는 ‘제발 집으로 돌아오라’며 눈물을 흘리는 모친의 호소에 마음이 흔들려 4개월 만에 튀니지로 돌아왔다. 그의 형이 2003년 이라크전쟁 당시 용병으로 나갔다가 사망했는데, 어머니가 메디 씨까지 전쟁 통에 잃을까 봐 걱정했기 때문이다. 메디 씨는 “혁명 이후에도 실업 문제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악화되기만 해 튀니지가 정말 싫었다”며 “IS 등 테러 단체에 투신한 젊은이들의 90%가 일하고 싶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우리 이웃”이라고 말했다.

카이로=조동주 특파원 djc@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