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1년… ‘유엔 인권위 증언’ 김복동 할머니 인터뷰 “정부, 우리에게 말도 없이 합의… 명예회복-법적배상 포기 못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90·사진)가 잠시 말을 멈추고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일본군에 끌려가던 열네 살 때 아련한 기억의 조각이 떠오른 것일까.
한일 위안부 합의 1주년을 이틀 앞둔 26일 서울 마포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운영하는 피해자 쉼터 ‘평화의 우리집’에서 김 할머니를 만났다.
화제를 소녀상 얘기로 돌렸다. 아기를 다루듯 작은 소녀상 모형을 어루만지던 그는 “해외에 있는 소녀상을 보고 돌아서면 이상하게도 여동생을 해외에 혼자 두고 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는 1993년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증언한 인물. 이후 23년간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고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받기 위해 세계 각지를 다니며 활동해 왔다. 그는 “몇 년 전만 해도 외국에 나가도 힘든 줄 몰랐는데 지금은 나이가 있어 금세 피로해진다”고 안타까워했다. 현재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40명. 이 가운데 김 할머니는 그나마 건강한 편이다. 하지만 워낙 고령이라 최근 왼쪽 눈 시력이 급격히 나빠져 앞을 잘 보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할머니는 “계속 싸우겠다”고 했다. 그는 “사죄 못 받고 수많은 할머니들이 한을 품고 세상을 떠났는데 살아남은 사람들이 힘닿는 데까지 싸워야 한다”며 아직 시력이 남아 있는 오른눈으로 먼 곳을 바라봤다. 정부가 외교 성과로 여기는 위안부 합의가 김 할머니에게는 삶과 죽음이 걸려 있는 문제였고 그 싸움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 같았다.
28일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올해 마지막 정기 수요집회가 열렸다. 이날 시위는 올해 숨진 위안부 피해자 7명의 추모제 형식으로 진행됐고, 김 할머니는 다시 마이크를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