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후생비-임원보수 대폭 인상… 공공개혁 1년만에 제자리 2015년 119곳 임금 4.9% 올라
3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공공기관 임금정책 평가’에 따르면 2015년 119개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정규직 1인당 평균 연봉은 1년 전(6672만2000원)보다 4.92% 증가한 7000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 정규직 연봉은 2012년 1.94% 오른 뒤 2013, 2014년에 2년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다 2015년에 큰 폭으로 올랐다. 기획재정부가 2014년 말 공공기관 임금 인상률을 2012년 이후 3년 만에 최고 수준인 3.8%로 정했기 때문이다.
기관별로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평균 연봉이 9764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전력거래소(9033만3000원) 한국무역보험공사(8866만 원) 한국세라믹기술원(8756만7000원) 한국마사회(8687만4000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원자력안전기술원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전문 기술보다는 정부가 규정한 독점 분야에서 별다른 경쟁도 없이 사업을 하는 공기업들이다.
공공기관 임원들의 보수도 올랐다. 기재부는 ‘공공기관 임원 보수지침’을 개정해 2014년 공공기관의 기관장 및 상임이사의 평균 연봉을 최대 35.7%까지 깎았다. 하지만 2015년 기준 공기업 기관장의 평균 연봉은 1억8198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577만 원(16.5%) 늘었다. 예산정책처는 “일부 시장형 공기업을 제외하면 공공기관의 임원 평균 연봉이 대부분 2013년 수준으로 늘어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공공기관 정규직의 평균 연봉은 대기업보다 높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소득분위별 근로자 연봉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6544만 원이었다. 국내 전체 임금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3281만 원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공무원 보수가 지난해보다 3.5% 오르는 등 공공부문의 보수 인상 러시가 이어지면서 노동시장의 구조 왜곡이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정부가 청년 창업가에게 소득세를 최대 75% 깎아주는 등의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안정된 정년과 높은 보수로 상징되는 공공부문의 기득권 타파가 나타나지 않고서는 노동시장 왜곡은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병훈 중앙대 교수(사회학)는 “공공부문에 대한 과도한 보호와 장벽으로 소득이 한쪽에 치우치면 민간부문의 근로와 창업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취업절벽에 떠밀린 청년들이 공공부문 취업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