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공기업 감동경영]귀농귀촌으로 생기는 나비효과

입력 | 2017-01-23 03:00:00

기고 / 김귀영 귀농귀촌종합센터장




 한 마리 작은 나비의 날갯짓으로 생긴 바람이 지구 건너편에서는 돌풍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과학이론을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고 한다. 그 효과를 ‘귀농귀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전북 남원 산내초등학교는 전교생 100여 명 중 절반 이상이 귀농귀촌인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어 폐교 위기에 처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희망이 되고 있다. 이 학교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이 들어오는 선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 산내뿐 아니라 귀농귀촌이 활성화된 마을에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전북 고창군의 이장 10% 이상이 귀농귀촌한 사람들이다. 강원도는 도내 6차산업체 경영대표 42%가 귀농귀촌인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귀농귀촌이 활성화된 마을에는 작은 도서관, 협동조합으로 운영되는 카페·식당·의료서비스, 작은 박물관, 다양한 공동체 등이 생겨나면서 지역을 활기차게 바꾸고 있다.

 지난해 6월 30일 정부가 발표한 2015년 귀농귀촌 인구는 총 32만9368가구에 48만6638명으로 귀농귀촌 50만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39세 이하 청년 귀농도 9% 수준으로 기존의 농가연령 구조와는 확연히 다르게 젊어지고 있다.

 또한 귀촌가구의 경우는 오히려 20, 30대가 52.3%로 주력이다. 그러나 아직 청년층 농가 비중이 전체 농가의 1%도 안 되는 열악한 현실이다. 작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수립한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은 ‘청년의 꿈이 실현되는 활력 넘치는 농촌’을 비전으로 청년 귀농을 집중 육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청년층이 탄탄해야 농촌 지역 경제, 학교, 문화시설, 의료, 교통 문제 등의 삶의 질 문제도 동반 성장할 수 있다는 생각이 기반이 된 것이다.

 청년 귀농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농업을 이끌어 갈 지도력을 키우는 정책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본이 부족한 청년층을 위해 농업 부문을 창업할 때 최소한의 필요 자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 마련도 시급하다. 교육을 받고, 창업을 하고, 지역의 지도력으로 성장하기까지 지원 정책이 아주 촘촘하고 세밀하게 움직여야만 된다.

 귀농귀촌종합센터(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산하)는 농식품부와 지자체, 관련 기관,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청년 귀농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정책 성공의 열쇠는, 경험이나 자산 등이 부족한 청년들이 기존 농산업 종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접목시킬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부족한 경험과 자산의 열악함을 극복하고 귀농에 성공하는 젊은이를 키워내는 게 중요하다. ‘나비효과’처럼 귀농귀촌이 대한민국의 농업과 농촌을 행복한 일터와 삶터로 만드는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 이미 날갯짓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