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벗드갈의 한국 블로그]결혼이주여성은 왜 귀화하려는 걸까

입력 | 2017-01-24 03:00:00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벗드갈 몽골 출신 서울시립대 대학원 행정학과 재학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이주여성들의 제일 큰 두려움은 아마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것과 한국어 소통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한국에 시집와서 한국 사회에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포기하고 인정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 물론 이 문제는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당연한 문제라고 생각하면 조금 마음이 가벼워질 수도 있다.

 결혼 이주여성이 한국 사회를 잘 알지 못한 채 아이를 갖게 되면 고생이 두 배가 된다. 한국 여성들도 결혼한 후에는 출산, 시댁과의 갈등 등으로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하물며 우리 같은 경우는 아이를 돌보면서 한국 문화에 적응해야 하고, 또 한국어도 배우느라 바쁘다 보니 한동안 심한 산후 우울증과 세상에서 소외된 느낌을 받으면서 살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사실 나도 한국에서 대학 생활을 마치고 어느 정도는 한국 문화와 정서를 안다고 생각해 결혼까지 했지만 내가 알던 것이 정말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결혼해서 많이 느꼈다. 나보다 한국을 모르는 사람들이 한국에 시집오면 얼마나 힘들고 괴로웠을까. 나는 다문화 음악방송을 진행하면서 틈틈이 한국에서 사는 이야기, 시집살이, 문화 차이 등을 최대한 알려주려고 노력한다.

 얼마 전 이주여성 커뮤니티에서 우연하게 발견한 글이 있다. 영주권을 받고 한국에서 사는 게 좋은지, 아니면 국적을 포기하고 귀화를 하는 게 좋은지에 대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결혼 이주여성들은 귀화를 추천했는데, 이유는 자녀의 미래 때문이었다. 자녀의 미래를 응원하고 싶어서, 엄마 때문에 아이가 한국 사회에서 차별받을까 봐 등등…. 엄마가 외국인이란 것이 그렇게 부끄러운 일인가. 나는 오히려 엄마가 당당해야 아이도 당당할 수 있을 거라고 믿기 때문에 동의하지 못한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07년 결혼 이주여성 8만7000여 명 중 7만5000여 명이 귀화했다. 이는 2015년 14만7000여 명 중 12만5000여 명으로 늘었다. 세월이 지날수록 귀화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개인의 선택과 자유라고 생각하지만, 만약 귀화를 하는 이유가 오로지 자녀 때문이라고 하면 긍정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만약 많은 결혼 이주여성들이 자녀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고 있다면 정부는 다문화 정책을 다시 돌아보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무엇인가 잘못돼 있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 아닌가.

 다문화 정책 예산은 이명박 정부 때보다 박근혜 정부에서 확연히 줄었다. 또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도 예전보다 줄고 있는 것 같다. 아직도 다문화 정책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 가끔씩 국제이주기구 이민정책연구원에서 난민 이야기를 하거나 중국동포 이야기를 하면 놀랄 때가 많다. 아직까지 정책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나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하나라도 제대로 잘한 뒤에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물론 이것은 나의 성급한 판단일 수도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전체 다문화가정의 46.8%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한다. 경기도의 경우 다문화가정 자녀 5만여 명 중 6세 이하가 약 60%를 차지했을 정도로 어린 연령층이 많다. 이 아이들은 아직 다문화가족이란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나이다. 따라서 이 아이들을 위한 좋은 정책이 실행된다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한국 시민들의 촛불집회를 보면서 사회가 아직 건강하고 잘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사회 분위기라면 다문화가족이 한국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인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받아줄 수 있겠다는 긍정적인 생각이 든다.

벗드갈 몽골 출신 서울시립대 대학원 행정학과 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