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일본의 고민
“저러시다가 밤에 갑자기 가래가 목에 걸려서 숨을 못 쉬게 되면 어떡하죠?”
“그때는 비상전화번호로 얼른 연락하세요. 그리고 혹시 일이 잘못되더라도 절대 자기 자신을 탓하면 안 됩니다.”
일본 가나가와(神奈川) 현 요코스카(橫須賀)에서 미와(三輪)의원을 운영하는 지바 준(千場純·67) 원장은 최근 방문의료로 찾아간 집의 보호자에게 이렇게 신신당부했다. 40대 초반의 딸은 알츠하이머와 류머티즘으로 10여 년째 누워 지내는 80대 어머니를 간병하고 있었다. 환자는 이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태. 간호사가 혈액 채취를 위해 돌아누워 달라고 부탁했지만 그조차 통하지 않았다.
지난달 12일 지바 원장이 요코스카 일대 7개 가정을 도는 방문의료에 동행했다. 모두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 탓에 의사가 자택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재택의료를 받는 환자들이다.
집에서 최후를 맞겠다는 각오를 한 때문인지 환자도 가족도 분위기는 밝았다. 자연의 섭리를 받아들이는 순응의 자세가 엿보였다.
재택의료 위한 지역 네트워크 시스템
“집에서 여생을 보내겠다”고 선언한 췌장암 환자를 가족과 의사, 방문간호사, 케어플래너 등이 둘러쌌다. 환자도 가족도 의외로 분위기가 밝다. 가운데 앉은 사람이 지바 원장.
“의사 방문은 일단 월 2회로 시작하겠습니다. 방문간호사는 주 2회 오시고, 환자의 목욕도 맡아 주세요. 이를 위한 용구를 의료업체 직원이 준비해 주시고요. 약은 500엔(약 5100원) 정도 내면 배달에 투약 지도까지 해주는 시스템이 있으니 그걸 이용하시면 됩니다.”
“환자가 통 음식을 먹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가족에게 지바 원장은 “먹는 일 자체가 힘들어서 그런 것”이라며 “본인이 원하는 대로 해드리라”고 조언했다. 병세의 진행 과정에 대해 가족에게 설명하고 마음의 준비도 도왔다. “어느 순간부터 엄청난 고통을 호소할 수 있는데 그때는 마약 성분의 진통제를 사용하게 된다”는 말에 가족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환자가 집에서 임종하겠다는 뜻이 워낙 강해 가족들은 재택임종을 받아들였다.
“병이란 두 종류가 있습니다. 치료하면 다시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치료 계획도 따로 세워야 하지요. 의사들은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조건 생명만 유지하는 연명치료를 하기 일쑤죠. 하지만 의식도 없는 상태에서의 연명을, 환자 본인이 과연 좋아할까요?”
지바 원장은 느닷없이 가족에게 “아버지 인생에서 가장 빛났던 시기는 언제냐, 가족과의 좋은 추억은 뭐냐”고 물었다. “은퇴 전에는 열차 운전을 했고 일에 대한 자부심이 컸다. 추억은 규슈에 가족여행을 간 일”이라는 답이 나오자 “그 시절 얘기를 아버지와 많이 나누라. 생기가 돌아올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버지와의 매일을 소중히 하라”는 말도 잊지 않았다.
이어 방문한 집에서는 6개월 전 위암 수술을 받았지만 뼈에까지 전이가 된 65세 환자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 남은 시간이 6개월이라고 했는데, 별 변화가 없다”는 그는 “기운이 없어 집에서만 지낸다”고 했다. 지바 원장은 움직이지 않으면 상태가 나빠진다며 가벼운 운동은 물론이고 평소 열심히 다니던 절에 나가 볼 것을 권했다. 종교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며. 환자는 “내년 이맘때면 난 여기 없을 테니까. 남편도 부모도 다 저세상에서 기다리고 있으니 외롭지 않다”고 스스럼없이 말했다. 문득 혼자 남겨질 막내딸(24)을 쳐다보더니 “이 아이도 장래를 약속한 남자친구가 있어 걱정할 게 없다”고도 했다. 딸도 덤덤하게 엄마의 말을 들었다.
5년 전 뇌출혈로 쓰러진 이 환자는 최근 집에서 재활훈련을 하고 있다. 요코스카=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의료-간병이 환자수를 따라가지 못하게 될 ‘2025년 문제’의 공포
더 큰 고민은 병원에서도 집에서도 임종할 수 없는 이른바 ‘임종 난민’이 늘어난다는 점이다. 2012년에는 연간 사망자 120여만 명 중 76%가 병원에서 임종했다. 하지만 2025년에는 연간 사망자가 16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위급해서 응급실에 실려 가도 병상이 없고 재택임종을 하려 해도 왕진할 의사가 없을 가능성이 크다. 후생노동성은 2030년이 되면 47만 명이 임종 난민이 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이를 의식한 일본 정부는 ‘익숙한 지역에서 최후까지’를 슬로건으로 재택의료와 간병의 충실을 기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현재 고령화율(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 29%로 일본 전국 평균보다 5년 정도 앞서가는 인구 40만의 도시 요코스카는 재택임종 비율도 22.9%로 전국 1위다. 지바 원장 같은 의사들이 2025년에 대비해 일찌감치 지역에서 재택의료를 뿌리내린 결과다.
지바 원장은 현재 월 환자 600명 중 4분의 1을 방문의료로 진료하고 있다. 이날 7군데 왕진을 마치기까지, 오후 1시부터 7시간이 걸렸다. 동행한 간호사는 “본래 짧게 짧게 돌아야 하는데 원장님이 너무 꼼꼼하게 진료하고 상담까지 자청하니 시간이 늦어진다”고 입을 내밀었다.
한국의 고령화는 일본보다 더 빠르다
한국은 일본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고령화 속도는 더 빠르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대비하지 않으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고령화사회 진입 18년 만인 2018년이면 고령사회, 2026년이면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요코스카=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