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 경제부 차장
얼마 전 한 방송사가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힐링 송’을 조사했더니 들국화의 ‘걱정 말아요 그대’가 1위를 차지했다. 드라마 ‘응팔(응답하라 1988)’에도 삽입돼 국민가요 반열에 오른 노래다. 이 곡이 한국인의 가슴을 위로해 주는 건 노랫말처럼 국민들이 그동안 너무 힘든 일을 많이 겪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인이 원래부터 걱정이 많았던 것 같진 않다. 경제개발 초기인 1964년 말 동아일보 국민 여론조사에서 ‘살림살이가 앞으로 나아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26%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100달러가 간신히 넘는 빈국의 국민인 데도 잘살게 될 것이라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국민소득이 250배 이상으로 늘어난 지난해 같은 질문을 했더니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45.4%로 훌쩍 올라갔다. 53년 전의 가난한 한국인보다 요즘 부자 한국인들의 걱정이 더 많은 셈이다.
국민들의 걱정이 많은 나라가 잘될 리 없다. 불안하면 돈은 달아난다. 있는 사람이 지갑을 닫고 투자와 소비는 쪼그라든다. 밑바닥 서민들의 일자리도 날아간다. 한국은행이 1990년대 이후 일어난 대통령 친인척 비리 등 6번의 정치적 사건의 파장을 분석했더니 평균 6개월 이상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쳤고, 저소득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리더들이 서민들을 진심으로 걱정한다면 시국을 안정시키고 불안한 미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줘야 할 것이다. 하지만 촛불과 태극기 광장의 불안과 혼란을 자극해 권력을 쥐려는 이는 보여도 불안한 미래를 국민들보다 한발 앞서 걱정하고 대안을 함께 마련하려는 정치인이 많지 않으니, 국민들은 그게 또 걱정이다.
중동의 두바이는 아라비아 반도 사막 끝의 작은 어촌이었다. 20세기 초 소금(Salt), 태양(Sun), 모래(Sand)밖에 없는 ‘3S’의 불모지로 불리다가 석유가 나면서 졸지에 부자 나라가 됐다. 하지만 석유 매장량은 많지 않았다.
“내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낙타를 탔다. 나는 벤츠를 타지만 증손자는 다시 낙타를 탈 수도 있다.”
“정치적 혼란과 불확실성만 없어지면 경제는 살아날 수 있습니다. 경제가 정치 중립적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개혁한다면 성장 잠재력이 발휘될 겁니다.”
얼마 전 별세한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생전 마지막 공식 행사에서 남긴 말이 의미심장하다. 국민들이 언제까지 노래로만 위로를 받아야 하는가.
박용 경제부 차장 par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