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뉴리더쉽을 세우자
헌정 사상 초유의 현직 대통령 파면 사태를 맞아 대한민국을 다시 일으켜 세울 새로운 리더십의 출현이 목전의 과제로 떠올랐다. 조기 대선으로 숨 가쁘게 내달릴 대선 국면에서 누가 당선되느냐보다 진영 대결을 넘어 어떤 리더십을 만들어내느냐가 우리 사회의 최대 현안인 셈이다.
동아일보는 13일 각계 전문가들에게 ‘탄핵 이후 대한민국을 재건할 뉴 리더십’을 물었다. 김동연 아주대 총장(전 국무조정실장)은 “우리가 마주한 구조적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통찰력”을 꼽았다. 이어 “자신의 비전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정치학)는 “‘군주형’ 하드(hard) 리더십과 ‘소통형’ 스트롱(strong) 리더십을 구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나를 따르라’는 식의 하드 리더십은 위기 상황에 취약한 반면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스트롱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가 높아 위기 상황에서 오히려 강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임기 초반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라고 여러 차례 지시했다. 칸막이를 없애려면 이해 부처나 당사자 간 난상토론이 가능해야 한다. 수평적 조직문화가 우선시돼야 하는 것이다. 또 실무자가 실권을 갖고 업무 조정에 나설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에선 부처 간 토론은커녕 청와대 내 수석비서관들 사이에서도 토론 문화가 자리 잡지 못했다. 지시 내용과 대통령 리더십 간 엇박자의 대표적 사례다.
박 전 대통령은 2012년 대선 당시 야권 지도자를 포함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 운영과 기회균등위원회 설치, 탕평 인사를 통한 초당적 국정 운영을 약속했다. 하지만 결과는 역대 어느 정권보다 가파른 여야 대치였다. 결국 말이 아닌 실천 의지와 구체적 방안을 검증하는 게 대선 정국의 핵심 요소인 셈이다.
김용직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은 “언론인이든 기업인이든 다른 영역 인사들과의 난상 토론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매주 기자들과 모든 현안을 두고 쌍방향 대화를 할 자세가 돼 있는 대통령이라야 역대 모든 정권의 발목을 잡은 ‘비선 의혹’ ‘권력 남용 시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임기 8년간 수시로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 현안을 두고 기자들과 격론에 가까운 토론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 퇴임 당시 최대 60%(갤럽 조사)의 국정 지지율은 이런 소통의 힘에서 비롯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재명 egija@donga.com·신진우 기자 / 워싱턴=이승헌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