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신 산업부 기자
전문가들은 정부의 목표가 애초에 틀렸다고 지적한다. 취업 시장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할 일은 장애인 같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것이 우선이다. A 교수는 ‘고졸자가 사회적 약자이고 배려해야 할 대상이라는 데 동의할 사람이 얼마나 되겠냐’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의 중요한 역할은 남녀 차별 같은 부당한 차별이 없도록 하는 일이다. 취업 시장에서 학력에 따른 차별이 발생하는 건 막아야 하지만 특정 학력을 우대하는 건 역차별이다.
은행들은 정부가 바뀐 후 고졸 채용을 줄였지만 일반 기업들은 공채 학력 기준을 완화하는 추세다. 롯데그룹은 2011년부터 공채 지원자의 학력을 대졸에서 고졸로 바꿨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부터 공채에 지원할 수 있는 학력 기준을 아예 없앴다.
기업들은 학력뿐만 아니라 스펙 자체를 초월한 채용을 늘려가고 있다. SK그룹은 ‘바이킹 챌린지’, 롯데그룹은 ‘스펙태클’이란 이름으로 오디션 방식의 채용을 실시 중이다. 이 채용의 공통점은 일체의 스펙을 배제한다는 것. 롯데그룹의 경우 세븐일레븐은 ‘새로운 도시락 메뉴를 개발해보라’, 롯데백화점은 ‘백화점의 옴니채널 활성화 아이디어를 제시하라’는 등의 주제를 내걸고 지원자의 프레젠테이션을 평가한다. 일반 공채 입사지원서에도 입력해야 할 스펙 항목은 갈수록 줄고 있다.
기업 인사팀 사람들의 말을 종합하면 기업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최적의 인재를 뽑으려 한다. 축적된 경험상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원의 역량과 스펙은 별 연관성이 없다. 인사 담당자 D 씨는 “정부가 간섭하지 않으면 기업들이 알아서 열린 채용을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열린 채용이 늘어날수록 취준생들의 과도한 스펙 경쟁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한쪽에서는 여전히 많은 취준생들이 스펙 쌓기에 열중하고 있다. 인터넷 취업 준비 카페에서는 취업에 필요한 스펙을 두고 갑론을박하는 취준생들이 넘치는 것이 현실이다. 공정한 경쟁과 열린 채용. 청년 실업을 책임지겠다는 대선 주자들이 넘쳐나는 시점이기에 두 키워드는 더욱 중요해 보인다.
한우신 산업부 기자 hanwsh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