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대부분의 사람에게 심어진 세종대왕의 이미지는 날씬하고 잘생긴 인물. 하지만 실제 그는 아버지 태종이 ‘비중(肥重)’이라고 말할 정도로 살찐 체형이었다. 세종은 즉위 4년째부터 허손병, 즉 극심한 과로 증상에 시달렸다. 7년째는 관을 짜 둘 정도로 증상이 악화돼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지 못할 지경이었다.
세종실록에는 그가 앓았던 질병명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풍질, 풍습, 안질, 소갈, 임질, 종기가 대표적이다. 그중 풍질과 풍습은 가장 큰 고통을 호소한 질환. 풍질, 풍습은 관절 질환의 일종이다. 세종 21년 “내가 비록 앓는 병은 없으나 젊을 때부터 근력이 미약하고 또 풍질로 서무를 보기 힘들다”고 토로한다. 또 ‘일찍부터 다리를 절고 다닐 정도로 불편했다’는 기록으로 미뤄 보면 천장 관절염(고관절염과 유사)을 앓았던 것으로 보인다.
소갈증(당뇨병)도 심했다. 세종 21년에는 “하루에 마시는 물이 어찌 한 동이만 되겠는가”라고 말할 정도였다. 문서를 오래 보는 것을 힘들게 했던 잦은 눈병(안질)도 그 합병증이었다.
세종 24년에는 “온정(溫井)에서 목욕한 이후 눈병이 더욱 심해졌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경기 이천과 충남 온양(아산) 등 온천을 찾았지만 안질은 더욱 심해져 거의 시력을 잃다시피 했다.
실록상의 ‘임질’ 기록을 보고 깜짝 놀랐겠지만 현대적 질환인 감염성 성병과는 다른 질병이다. 동의보감에 나온 임질은 “심신의 기운이 하초에 몰려 오줌길이 꽉 막혀 까무러치거나 찔끔찔끔 그치지 않는 증상”이다. 신장과 방광이 허약해 소변보기가 불편한 전립샘 질환 정도였다. 재위 7년 조선을 찾은 중국 의원 하양은 세종을 진찰한 뒤 왕의 질병에 대해 “전하의 병환은 상부는 성하고 하부는 허한 데서 비롯됐는데, 이는 정신적 과로에 의해 생긴 것”이라 말하면서 화(火)를 없애는 향사칠기탕과 양격도담탕을 처방했다.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과로와 스트레스로 생긴 병이다.
누가 더 오랜 시간 쉬지 않고 공부하는지 내기를 벌이다 잠든 신숙주의 어깨 위에 용포를 걸쳐 준 미담의 경우 의학적 관점으로 보면 신체에 대한 자학의 역사다. ‘위대한 정신’을 가진 이라고 질병이 피해 가지는 않는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