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박선희의 뉴스룸]반감에 대처하는 자세

입력 | 2017-04-11 03:00:00


박선희 채널A 산업부 기자

삼성전자 주주총회장에서 수십 년간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했다는 한 소액 주주를 만났다. 그는 삼성 덕에 자산가치가 엄청나게 뛰었다고 했다. 올해 200만 원을 돌파한 삼성전자 주식을 그렇게 오래 가지고 있었다면 과연 그랬을 것이다.

삼성은 이번 1분기에도 10조 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냈다. 분기당 10조 원의 이익을 내는 기업은 미국의 애플, 중국의 공상은행 등 세계적으로도 손꼽힐 만큼 적다. 삼성은 한국에서 유례없는 기업이고, 아마도 그가 보유한 주식의 가치는 앞으로 더 올라갈 것 같다. 그런 그의 고민은 이랬다.

“그런데 삼성은 왜 이렇게 국민적 지지를 못 받는 거죠?”

아마 주총장에 나타난 소액주주들뿐 아니라 삼성의 임직원도 똑같은 고민을 하는 중일 것이다. 반(反)삼성 기류를 예로 들었지만 사실 요즘 이런 안티 정서에서 자유로운 기업은 별로 없을 것이다.

반기업 정서는 최근 재계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다. 정경유착의 고리로 지목된 전경련은 이름까지 바꾼다고 발표하며 고강도 혁신을 선언했고, 기업들은 어디다 더 투자하고 얼마를 더 채용해야 반감을 없앨 수 있을지 고민한다. 실적과 업황이 좋아 투자를 늘려도 기사화를 원치 않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잘나간다는 이유만으로 괜히 더 밉보일까 걱정돼서다.

기업의 안티 고객은 품질과 서비스가 떨어져도 생기고,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거나 마케팅이 과할 때도 생긴다. 이런 차원의 문제면 오히려 해결이 쉬울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의 반기업 정서는 기업 자체보다는 재벌과 재벌 총수에 대한 반감에서 유래한 측면이 크다.

영화 ‘베테랑’에서 유아인이 보여준 무법적인 재벌 3세 이미지는 널리 대중화됐다. 이 캐릭터를 단순히 영화적인 수사라고만 치부할 수도 없는 것이,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일부 재벌가의 숱한 일탈을 목격했고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재벌들의 갖은 편법과 비행이 담긴 영화가 외려 다큐멘터리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국민 여론은 계속 악화돼 왔다.

여기에 최근 대기업 총수들이 연이어 국회로, 검찰로, 법원으로 불려나가는 장면은 그간 누적된 반감의 티핑포인트(tipping point·급변점)가 됐을 것이다. 불법 정치자금과 횡령·배임, 탈세 등의 이유로 수십 년 전부터 봐왔던 그 모습이 똑같이 되풀이됐다. 묘한 기시감을 주는 그 장면은 변한 것이 없다는 실망에 더해 그간 차곡차곡 누적돼온 반감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계기가 된 셈이다.

현장에서 마주치는 재계 관계자들은 비우호적 여건이 힘들다고 볼멘소리를 한다. 대선이 가까워지며 여론을 등에 업은 반기업 규제들이 한층 강화될 처지라 위기감은 더 클 수밖에 없다. 계열사별 자율 경영을 강화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을 대관업무에선 아예 손을 뗀다고 한다. 투자와 채용도 확대하겠다고 한다. 윤리경영도 하고 있으며 사회공헌도 확대한다고 한다. 뭘 어떻게 더 하냐고 묻는다.

하지만 수십 년간 축적돼온 유래 깊은 반감이 한두 번 노력한다고 금방 사라질 수는 없는 법이다. 기업이 실제로 달라지는 데 시간이 필요하지만, 달라진 기업의 모습을 인정해주는데도 시간은 필요하다. 뭘 해야 하냐는 질문의 답은 하나다. 계속 그렇게 하는 것이다.

박선희 채널A 산업부 기자 tell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