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건국-민주화 과정서 잊혀진 유교의 역할 집중 조명”

입력 | 2017-04-24 03:00:00

‘군자들의 행진’ 펴낸 이황직 교수




이황직 교수는 “한학자(漢學者)로만 알려졌던 여러 유교 지식인들이 사실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을 벌인 불굴의 투사였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정치사상 면에서 오늘날의 유교는 ‘잊힌 동네북’에 가깝다. 일제강점기 유교의 문약함이 조선을 망하게 했다는 ‘유교 망국론’이 일었고, 1980년대 ‘유교 자본주의론’이 나왔지만 1997년 동아시아의 외환위기 이후에는 다시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유교는 전근대 사상으로 극복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그러나 유교인들이 해방정국의 건국 운동부터 1960년대 민주화운동까지 면면히 큰 역할을 수행했음을 논증한 책 ‘군자들의 행진’(아카넷·사진)이 최근 발간됐다.

21일 만난 저자 이황직 숙명여대 기초교양대 교수(48)는 “유교는 기독교나 사회주의 계열 못지않게 근현대 정치운동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지만 망각됐다”고 말했다.

유교 정치운동에 대한 이해는 연구자들도 구한말의 위정척사운동과 항일 의병, ‘파리 장서운동’(1919년 유림이 파리강화회의에 조선의 독립을 청원한 운동)에서 멈추는 게 보통이다. 책은 이후의 과정을 추적해 나간다.

1947년 미 군정에 반대하며 임정 쿠데타를 시도한 ‘한국혁명위원회’ 사건의 주역이 유교계라는 점에 주목해 그 성격을 새로 밝히기도 했다. 이 사건은 그동안 아나키스트 운동으로 이해됐다. 이 교수는 “참여한 인물과 단체를 하나하나 살펴보면 부위원장 위당 정인보를 비롯해 간부 전원이 유교계의 핵심 인물이고, 협력 세력에도 유교계의 참여가 현저하다”고 말했다. 해방정국에서 유교계 독립운동 세력과 아나키스트의 한 계열이 사실상 한 몸으로 활동했다는 것이다.

책은 또 심산 김창숙 선생 등이 이승만 독재에 저항하며 유교계가 정권의 탄압을 받아 분열되지만 1960년 4·19혁명을 전후해 활성화돼 4·25 교수단 시위를 조직화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유교는 일제와 맞서는 과정에서 민본(民本)사상이 민주로, 대동사상이 평등으로, 폭군방벌론(인의를 버린 군주는 백성이 축출할 수 있다는 것)이 시민혁명론으로 발전했다”며 “이 모두 유학의 정명(正名)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책 제목은 청교도주의를 17세기 영국 시민혁명을 이끈 급진 정치학의 기원으로 분석한 미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왈저의 저서 ‘성자들의 혁명’에서 따왔다. 이 교수가 대학원생 시절인 20년 전부터 염두에 뒀던 것이라고 한다. 이 교수는 박사 과정에서 정인보, 함석헌 선생의 사상을 연구하며 ‘한국의 근대는 도덕적 혁신을 통해서 이뤄진 윤리적 근대’라는 결론을 냈다.

그는 유교의 ‘관계의 윤리’는 근대적 개인의 탄생을 저해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주목할 측면이 있다면서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부모는 부모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라는 말을 꺼냈다. “예컨대 ‘김영란법’은 부정청탁 문제에 대한 일종의 법가(法家)적인 접근이지요. 효과는 있겠지만 교원은 월급 받는 만큼만 가르치는 직장인으로, 사제 관계는 계약관계로 만들어 버립니다. 그게 정말 사회가 나아지는 것일까요?”

이 교수는 “시간이 걸려도 예를 갖추고, 믿음을 심고, 사람을 사랑하는 훈련이 근본적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든다”며 “유교는 다시금 현실 문제에 해법과 대안을 제시하면서 시민사회에 참여해야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