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해외취업, 지여인(지방대-여성-인문계열)도 OK… 전공-특기 맞춰 국가-직종 찾아라

입력 | 2017-05-26 03:00:00

[청년에게 일자리를/청년이라 죄송합니다]2부 ‘노오력’ 내비게이션
‘나의 광개토청년 자질은’ 문답 테스트




TV 속 국제뉴스를 보면 딴 세상이 보인다.

“일본은 구인난으로 청년들이 일자리를 골라 간다고 하는데요. 특파원 연결합니다.” ‘부럽다’는 생각과 동시에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이 늘었다는 신문기사도 떠오른다. 나도 해볼까? 취재팀이 만난 많은 청년은 얼어붙은 국내취업 현실 속에서 ‘나의 해외취업 가능성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를 고민했다. 해외취업 성공자, 전문가 등 30여 명을 인터뷰해 해외취업 ‘성공과 실패’의 인자(因子)를 추출한 이유다. 취준생 당신에게 하나씩 묻는다. 답변에 따라 해외로 일자리 영토를 넓히는 ‘광개토청년’의 조건을 갖췄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질문1: 왜 해외취업을 생각하는가?

①국내보다 월급이 많을 것 같다. ②국내취업에 자꾸 실패해 대안이 필요했다. ③외국에서 근무하면 자유로울 것 같다. ④○○국가에서 하고 싶은 일이 있다.



①은 오해다. 해외에서 온 신입사원에게 처음부터 많은 급여를 주지는 않는다. 지난해 해외취업을 한 청년 4811명의 평균 연봉은 2686만 원. 해외취업 초기는 가시밭길이다. 외국인들과 해외에서 외국어로 일하는 자신을 상상해 보라.

강진 단국대 취업진로처 초빙교수가 분석한 국내 청년의 해외취업 유형은 △‘한국이 싫어 나가고 싶다’는 ‘탈출형’ △미국, 유럽 문화를 동경해 해외취업을 준비하는 ‘관광형’ △국내건 해외건 무조건 취업한다는 ‘필사형’ △어떤 국가의 특정 분야에서 일하겠다는 ‘개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당신은 어디에 속하는가? 강 교수는 “칼퇴근, 장기휴가, 편안한 조직문화 등이 보장된다고 생각하는데 해외취업의 현실은 다르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해외취업의 이점은 많다. 학벌과 스펙보다는 직무역량 위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실무능력을 갖췄다면 ‘지여인(지방대·여성·인문계열)’ 중에서도 해외취업에 성공하는 사례가 많다. 초봉은 적지만 경력이 쌓이고 실력이 입증되면 급여도 크게 오른다. ①③을 답했다면 자신부터 돌아보자. ②④를 선택했다면 질문2로.

질문2: 해외에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

①글로벌 기업에 취업하고 싶다. ②전공과 별개로 원하는 분야에 취업하겠다. ③내 전공이나 특기에 맞춰 취업하겠다. ④단순 서비스업은 되도록 피하겠다.



①②④를 택한 당신의 해외취업은 가시밭길! 두 청년이 있다. 임예찬 씨(25)는 현재 싱가포르 내 특급호텔인 JW메리엇호텔의 슈퍼바이저(관리자)를 목전에 두고 있다. 지방의 2년제 호텔학과를 나온 그는 2015년 해외로 눈을 돌렸다. 국내 130여 개 호텔경영 관련 학과에서 매년 졸업생 수천 명이 배출되지만 갈 만한 양질의 호텔은 80여 곳뿐인 탓이다. 임 씨는 유튜브를 통해 해외 호텔에서 쓰는 ‘오페라’ 체크인 운영시스템을 연구했다.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3월 싱가포르 호텔에 취업했다.

서울 중위권 4년제 대학의 호텔경영학과를 나온 최성식(가명·29) 씨는 미국 휴스턴대에서 호텔 매니지먼트도 전공했다. 불안한 마음에 미국공인회계사(AICPA)까지 준비했다. 하지만 전공과 관계없이 회계사 자격증만 있으면 취업이 잘되는 국내와 달리 미국은 회계학 전공이 아니면 자격증이 있어도 취업이 어려웠다. 그는 “막연한 생각으로 미국에 간 게 실패 요인”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대학 전공과 연계된 직무능력이 해외취업의 열쇠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A 씨는 일본어에 서툴렀지만 일본 기업 면접 때 자신이 회사에서 시행할 프로젝트를 3, 5, 10년 단위로 설명해 입사에 성공했다. ③을 선택한 당신. 다음 문항으로.

질문3: 어떤 국가에 취업하고 싶나?

①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선호한다. ②기회가 많은 곳이면 무조건 좋다. ③베트남 등 동남아에 가고 싶다. ④멕시코 등 중남미나 중동에 가고 싶다.



①을 선택한 이가 많을 것이다. 선진국 내 양질의 일자리에 척척 취업하는 ‘능력자’도 엄연히 존재한다. ‘링크트인’이나 ‘글래스도어’ 등 비즈니스 전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능숙하게 포트폴리오를 올린다. 상당수는 국내 외국계 기업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2, 3년 차 직장인이거나 해외 유학파다.

현실적으로는 영미권 선진국도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자국 청년에게 우선권을 준다. 게다가 취업비자를 따기 어렵다. 전모 씨(26·숙명여대 경영학과 졸업)는 국내 대기업 입사에 실패한 후 문화교류용인 J1비자를 이용해 지난해 3월 미국 현지 의류회사에 인턴으로 들어갔다. 비싼 물가에 비해 적은 월급(180만 원)으로 생활이 빠듯했다. 그럼에도 성실히 일하자 회사 측에서 ‘급여를 늘려주겠다. 같이 더 일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미국 취업비자는 추첨으로 발급되기 때문에 취득이 어려웠다. 그는 올 3월 귀국했다.

선진국만 선호하기보다는 동남아, 중남미 등 일명 ‘도전적 일자리’에서 기회를 찾아야 하는 이유다. 실제로 중동에 취업한 취준생은 2013년 116명에서 지난해 415명으로 늘었다. 최상철 백석문화대 교수는 “저개발 국가란 편견을 버리면 취업을 넘어 지역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질문4: 다음 조건 중 몇 개에 해당하나?

①일할 국가와 직종 결정 ②포트폴리오로 정리할 만한 전공·특기 ③이질적 문화 적응력 ④해외취업 시장에 대한 이해도



3개는 체크돼야 한다. 해외는 ‘공채’로 정규직을 한꺼번에 채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미국 대학생의 90%가 인턴을 거친 후 정식 사원으로 채용된다. 중국도 필요한 업무능력 보유자를 수시로 뽑는 구조다. 김성진 고용노동부 청년취업지원과 사무관은 “일정 기간 인턴으로 검증을 받아야 직원으로 채용되는 만큼 그 과정을 부끄러워하거나 고용불안 측면만 크게 보면 해외취업에 실패한다”고 말했다. 물론 완벽한 정답은 없다. 해외취업 멘토로 활동하는 성호용 정화예술대 교수는 말한다. “실패한 해외취업이란 건 없어요. 몇 개월 못 버티고 귀국하더라도 무언가 느끼고 변하는 계기가 됩니다. 청춘의 자산인 거죠.”

김윤종 zozo@donga.com·김동혁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