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동아일보DB
파주 양계농장 등지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바른정당은 6일 정부를 향해 “치밀한 방역시스템을 구축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바른정당 황유정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정부는 느슨했던 AI 방역관리에 깊이 반성하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황 상근부대변인은 “최초로 신고된 제주의 가금류 인플루엔자가 치명적인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로 최종 확인됐다”면서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위기경보를 ‘심각’의 최고단계까지 높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방역대책기간이 끝나는 시점까지 철저하게 관리했더라면 AI확산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겨울철 철새가 주범이 아니라 느슨한 정부 방역관리가 불러온 인재다. 이로 인해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가와 도시생활 소비자 모두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봄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농가와 치솟는 계란 값과 야채 값에 생활비 걱정과 먹거리 안전까지 국민들의 시름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정부는 신속한 대응으로 철저한 방제는 당연하고 기존의 느슨했던 방역시스템의 반성과 재정비를 해야 할 것”이라면서 “살처분이 예방대책이 되지 않도록 그 이전 단계에서 AI를 예방하고 확산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밀한 방역시스템을 구축과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6일 현재까지 AI 양성 판정을 받은 농장은 ‘발원지’로 추정되는 군산 농장 1곳을 비롯, ▲제주 6곳 ▲경기 파주 1곳 ▲경남 양산 1곳 ▲부산 기장군 1곳 ▲전북 익산 1곳 등 11곳이다.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dnew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