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연명 사회분과위원장 등 사회분과 소속 위원들이 어제 중소기업중앙회와 대한상공회의소를 잇따라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다. 대통령 직속 국가일자리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도 중기중앙회와 소상공인연합회 여성경제인협회 사람들을 만나 정책 소통에 나섰다. 국정기획위 경제분과가 아닌 사회분과가 나선 것은 일자리 문제를 경제 아닌 사회 문제나 복지 이슈로 접근하는 문재인 정부의 시각을 드러낸다. 그럼에도 국정기획위가 재계 인사들과 소통을 시작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새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대해 재계에선 걱정이 태산이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중소기업계는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등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했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서로 얘기하면서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안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용섭 부위원장이 “현장의 어려움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했지만 재계의 불안감을 말끔하게 해소하기엔 충분하지 못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이 됐는데도 재계 인사들과 만나지 않는 것은 지난 정부 비선실세의 국정 농단에 전경련과 대기업이 연루돼 있는 것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인수위 출범에 앞서 전경련 등 경제5단체장과 만났고, 박근혜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도 당선인 신분으로 경제단체장을 만난 것과 대조적이다. 대통령이 재계 인사들과 회동하는 것은 경제활동 주체인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글로벌 시장에선 시장친화적 대통령이라는 메시지를 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정치적 행위다.
문 대통령이 ‘일자리 대통령’을 자임한다면 집무실의 일자리 현황판만 들여다봐서는 안 된다. 기업이 얼마나 피땀 흘려 글로벌 시장에서 돈을 벌어오는지, 수출기업의 애로는 무엇이고 동네 상권은 어떻게 돌아가는지 피부로 느끼기 위해선 데이터보다는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야 한다.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정부라고 해서 대기업을 거악(巨惡)이라며 외면해서도 안 될 일이다. 대통령은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민간 경제사절단과 동행해 기업인들과 함께 경제외교를 적극 펼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