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옥자·GD, 룰을 깨다②]LP부터 USB까지…음반의 혁명적 순간들

입력 | 2017-06-23 06:57:00


《영화 ‘옥자’와 가수 지드래곤의 새 앨범 ‘권지용’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옥자’는 29일 미국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의 온라인 플랫폼과 극장에서 동시 공개되지만 이에 맞서 국내 대기업 멀티플렉스 체인들은 상영을 거부하고 있다. 지드래곤의 앨범은 휴대용 저장매체 USB에 음원을 수록하지 않은 채 다운로드 링크 방식을 담아 앨범으로 볼 수 있느냐를 두고 엇갈린 시선을 자아냈다.

하지만 ‘옥자’와 ‘USB 앨범’은 이제 더 이상 논란거리로만 남지 않는다. 대중문화 콘텐츠의 또 다른 미래의 유통방식으로서 새로운 화두를 던진 것으로 봐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 스포츠동아가 ‘옥자’와 ‘권지용’에 주목하는 이유다.

LP부터 ‘USB앨범’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문명이 이끈 음악매체의 변화를 훑는 것도 마찬가지다. 방송가 역시 이 같은 디지털 콘텐츠와 손잡지 않고서는 더 이상 생존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LP로 상징되는 아날로그문화가 여전히 살아 있음도 목격한다.》

■ LP부터 USB까지 ‘음반의 역사’

지드래곤 USB를 두고 ‘4차 음반혁명’의 신호탄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LP를 1차 혁명으로 본다면, 카세트테이프와 CD에 이어 USB가 네 번째 혁신적인 매체라는 것이다.

음악 저장매체는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왔다.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용량은 커져갔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시대로 전환되면서 더 고음질의 음악을 듣게 됐다.

1948년 미국 컬럼비아 음반사가 개발한 LP는 음악 재생시간을 크게 늘렸고, 입체음향을 구현했다. 19세기 축음기가 발명된 후 탄생한 초기 원반형 음악저장매체 SP(standard play)는 재생시간이 길어야 4분이었고, 이후 7∼8분에서 12분 등으로 길어졌다. ‘오래 회전한다’(Long Play)는 의미의 LP는 재생시간이 1시간 가까이로 늘었고, 재질도 연질의 비닐로 발전했다. 1958년 스테레오 시스템이 개발돼 입체음향을 들을 수도 있게 됐다.

1962년 필립스사의 콤팩트 오디오카세트 개발로 등장한 카세트테이프는 LP보다 현격히 작았다. 카세트 플레이어도 소형화하면서, 1980 년대엔 허리에 차고 다니며 음악을 듣기도 했다. 가격도 저렴했다. 무엇보다 라디오에서 ‘스트리밍’으로 듣던 음악을 누구나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테이프는 획기적이었다. 하지만 많이 들으면 늘어지고 음원도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1982년 콤팩트디스크(CD)가 개발돼 음반사의 새 장을 열었다. 현재까지도 가장 보편적인 저장매체인 CD는 680MB 용량으로 기존 LP나 카세트테이프에 비해 많은 음악을 담을 수 있었고, 넓은 음폭과 깨끗한 음질이 가능해졌다. CD에 소리를 담는 기능(CD-RW)이 적용되면서 복제와 편집도 가능했다.

1997년 국내 기업인 새한정보시스템이 ‘엠피맨 F10’이라는 mp3 플레이어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면서 mp3 파일을 담을 수 있는 USB에 음악 저장매체 기능이 부여됐다. 요즘 가정용 음향기기나 카 오디오에 USB포트가 마련돼 있기도 하다. USB는 2000년 이스라엘의 IT업체 엠-시스템이 개발했다. 요즘엔 스마트폰을 이용해 스트리밍하는 방식이어서 별도의 저장매체가 필요 없게 됐다. 하지만 디지털 음원은 ‘소장’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소장 가치’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사라지지 않는 한 유형 매체는 계속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김원겸 기자 gyummy@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