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준용씨 채용특혜 의혹 조작 파장
○ 이준서의 ‘독촉(?)’이 부른 참사
대선이 끝난 뒤 검찰은 준용 씨 채용 특혜 의혹을 둘러싼 수사에 착수했다. 이 씨는 검찰의 소환 통보에 두려움을 느끼고 21일 이용주 의원에게 연락했다. 25일 오후 이 의원실에서 김인원 부단장과 이 전 최고위원 등을 상대로 대질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조작 사실이 확인됐다. 이 씨가 말한 전화번호로 연락하니 녹취록과 똑같은 목소리의 남성(이 씨의 동생)이 나왔다. 이 씨는 조작 이유를 두고 “(채용 특혜 의혹이) 맞지만 나서서 증언하는 사람이 없어 내가 (조작을) 했다”면서 횡설수설했다고 한다.
이 의원은 “이 씨가 검찰 소환 전 일부 당원에게 ‘당에서 기획해서 지시했다’고 메시지를 보냈는데, 이건 증거를 조작하라고 지시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증거를 가져오라고 지시했다는 얘기”라고 해명했다.
○ 거짓 가능성 알고도 발표했나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 공안부(부장 강정석)는 당선 가능성이 높은 대선 후보 아들의 비리 의혹을 제보할 가능성이 낮은데도 당 선대위 관계자들이 이 전 최고위원의 제보만 믿고 대대적으로 발표한 배경을 의심하고 있다. 대선 판세를 뒤집기 위해 제보가 거짓 또는 왜곡됐을 가능성을 암묵적으로 알고도 발표를 강행했는지도 중요한 수사 대상이다. 검찰은 또 발표 및 조작 과정을 누군가가 기획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현재 이 씨는 검찰에서 이 전 최고위원이 여러 차례 증거 수집을 독촉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이 전 최고위원이 조작을 지시했다는 취지의 진술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당내에서도 ‘안철수 책임론’ 나와
국민의당은 김관영 의원을 자체 진상조사단장에 임명해 국면 전환을 꾀하고 있다. 박지원 전 대표는 27일 라디오 방송에서 “저에게는 전혀 보고한 사실이 없다. 안 전 대표도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며 “특검을 도입해 관련 의혹을 수사하자”고 말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도 “검찰뿐 아니라 특검이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안 전 대표의 책임론이 불거졌다. 이상돈 의원은 “김대업 조작 사건 수준의 심각한 문제”라며 “안 전 대표에게 정치적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도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장관석 jks@donga.com·정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