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창인 보라빛 칡꽃.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된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심지어 전염병인 홍역에도 소주를 쓴 기록이 있다. 정조가 쓴 ‘일성록’에는 의관들이 모여 홍역의 치료 경험에 대해 논의한 기록이 있는데, “올해 환자 중에는 오로지 소주만을 (치료제로) 썼는데도 살아난 사람이 많다”고 썼다.
반대로 조선왕조실록은 ‘태조 이성계의 맏아들 이방우(李芳雨)는 날마다 소주를 마시다 병이 나 죽었다’며 소주 과음의 폐해를 지적했다. ‘지봉유설’에는 ‘소주는 오직 약으로만 쓰고 함부로 마시지는 않았다’며 옛 풍속을 해설한 뒤 예를 들어 소주의 독을 경고했다. ‘명종 때 교리 김치운은 홍문관에서 숙직을 하다가 임금이 내린 자소주(紫燒酒)를 지나치게 마셔 그 자리에서 죽었다.’ ‘궁 안에는 술을 빚는 집이 있는데 지붕을 덮은 기와가 쉽게 낡아 몇 해에 한 번씩 바꿔야 했다. 또한 그 지붕에는 까마귀나 참새 떼가 모여들지 않는다. 술기운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이런 칡의 특성은 인체 가장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위장에서 물을 끌어올려 목 뒤의 뻣뻣함이나 몸의 열감을 식혀주고 풀어주며 술독으로 생긴 갈증을 해소한다. 한방에선 이런 치료원리를 이용해 열이 올라 잠 못 드는 불면증이나 입이 마르고 건조해지는 소갈증상 치료에도 칡을 즐겨 쓴다. 중약대사전엔 실제로 칡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많이 포함돼 있어 갱년기 장애도 치료한다고 나와 있다.
그렇다면 칡을 어떻게 먹는 게 술을 깨는 데 가장 좋을까. 먼저 ‘동의보감’에 나온 칡즙 용법을 보자. ‘칡뿌리를 짓찧어 즙을 낸 다음 1∼2홉을 마시면 술에서 깨어난다. 칡뿌리를 잘 찧어 물을 붓고 가라앉힌 가루를 받아 끓는 물에 넣으면 얼마 후에 풀빛이 나는데 이것을 꿀물에 타 먹으면 더 좋다.’
동의보감에도 칡꽃을 탕이나 차로 마시는 처방도 나온다. 탕으로는 ‘칡꽃(갈화)으로 만든 술 깨는 탕’이라는 뜻의 ‘갈화해성탕’이 있다. 칡꽃은 보라색으로 펴 땅 위로 흩뿌려지는 소박한 꽃으로, 여름 산 초입에 지금도 한창이다. 최고로 아름다운 술 깨는 처방은 이 칡꽃에 팥꽃을 같은 양으로 섞어 불기운에 말린 ‘쌍화산(雙花散)’이다. 동의보감은 쌍화산 4g 정도를 차로 우려 마시면 술에 취하지도 않고 술이 잘 깬다고 적고 있다. 아무리 아름다운 처방도 술을 이길 수는 없다. 무엇이든지 몸에 맞게 마시고 삼갈 따름이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