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스케일부터 남달랐던 ‘군함도 대탈출’

입력 | 2017-07-20 06:57:00

올해 여름 또 한 편의 기대작 ‘군함도’의 주역들이 무대에 섰다. 19일 오후 서울 CGV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시사회에서 송중기, 이정현, 류승완 감독, 소지섭, 김수안, 황정민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진환 기자 kwangshin00@donga.com


■1 제작비 220억원 ■2 스타 총출동 ■3 미래지향 메시지

■ 기대작 ‘군함도’ 3대 키워드

아낌없이 쏟은 제작비 ‘높은 완성도’
송중기 황정민 등 영화 녹아든 연기
류승완 “지금의 우리를 돌아봤으면”


일제강점기 대탈출의 서사가 스크린을 채운다. 담담하게 현실에 순응하던 사람들이 극한으로 내몰려 마침내 벌이는 엑소더스의 처절함이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영화 ‘군함도’가 그려낸 세계다.

26일 개봉하는 류승완 감독의 ‘군함도’(제작 외유내강)가 19일 시사회를 열고 베일을 벗었다. 순제작비 220억원, 황정민과 소지섭, 송중기 등 스타들의 출연으로 올해 한국영화 최대 기대작으로 꼽히는 작품. 그동안 일제강점기 영화가 계속됐지만 ‘군함도’는 또 다른 세계로 관객을 인도한다. 극적인 서사이지만 이를 풀어내는 방식은 시종일관 담담하다.


● 제작비 220억원…조선인 대탈출

‘군함도’는 일본 남단 하시마섬의 또 다른 이름. 영화는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일본 석탄 채굴의 절대적인 양을 책임진 군함도 해저탄광에 강제징용당한 조선인들의 이야기다.

제작진은 강원도 춘천의 13만2000여m² 부지에 대규모 야외세트를 짓고 해저탄광은 물론 조선과 일본인 거주지역 등을 완성했다. 조선인 노동자로 고정 출연한 배우만 80여명. 아낌없이 제작비를 쏟아 붓지 않았다면 지금과 같은 스케일을 구현하기는 불가능했다.

일본의 패망 움직임 속에 일제의 폭압이 거세지자 조선인들은 탈출을 결심한다. 영화는 상영시간 132분 가운데 마지막 30분을 대탈출을 그리는 데 쏟는다. 앞서 방대하게 펼쳐진 이야기는 이때부터 집중력을 발휘한다.

류승완 감독은 “군함도 탈출기는 어떻게 보면 현대사의 탈출기일 수도 있다”고 짚었다. “아직 정리되지 않은 역사에 붙잡혀 이미 오래 전 청산됐어야 할 문제들이 아직도 유령처럼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잡아먹고 있지 않나”라며 되묻고 ‘군함도’의 출발을 설명했다.

연기자 송중기. 김진환 기자 kwangshin00@donga.com


● 송중기…단연 돋보이는 활약

‘군함도’는 주요 출연진이 5∼6명으로 구성된 멀티캐스팅 영화다. 각 배우가 책임져야 할 이야기를 골고루 나눠 가졌지만 탈출 작전이 본격화화면서 단연 눈에 띄는 주역은 광복군 역할 송중기다. 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팬이라면 만족도는 더욱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시사회에서 송중기는 결혼을 앞둔 배우 송혜교를 짧게 언급했다. 두 사람 모두 ‘군함도’와 인연이 있기 때문. 송혜교는 몇 년 전 군함도 탄광 채굴에 참여한 일본 전범기업의 모델 제의를 거절해 화제가 됐다. 송중기는 이를 두고 “나였어도 똑같이 했을 것”이라며 “지금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니 그때의 결정에 잘했다 말해주고 싶다”고 애정을 드러냈다.

탁월한 수완으로 위기를 헤치는 황정민, 불의를 보면 주먹부터 앞서는 소지섭 역시 제 몫을 해냈지만 여배우들의 활약도 월등하다. 사연 많은 위안부 이정현과 황정민의 딸로 출연한 김수안은 영화의 완성도에 절대적인 기여를 했다.

● ‘항일’ 보다 ‘우리’를 돌아보는 메시지

‘군함도’가 어느 정도 흥행 성과를 낼지도 관심을 끄는 대목.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까지 포용하려면 그 메시지의 파급력과 폭발력이 관건이다. 영화는 ‘반전’을 기치로 내걸지만 한쪽에서는 ‘지금 우리’를 되돌아보자는 것으로도 목소리를 높인다.

류승완 감독은 “군함도에 착한 조선인만 있던 것도, 나쁜 일본인만 있던 것도 아니다”며 “너무 쉬운 이분법으로 관객을 자극하는 방식은 오히려 역사를 왜곡하기 좋은 모양새”라고 짚었다.

‘군함도’의 지향은 과거를 통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로도 읽힌다. 감독은 “군함도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는 과정에 대한 비판을 꼭 일본으로만 향하지 말고 우리도 돌아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이해리 기자 gofl1024@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