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정보화 시대의 은행 '클라우드 컴퓨팅' 이해하기 (3)

입력 | 2017-07-20 14:41:00


비즈 온 클라우드 연재나 클라우드 컴퓨팅(이하 클라우드) 관련 기사를 읽다 보면 일반 사용자나 기업 관리자가 이해하기 힘든 용어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클라우드의 근본이 어려운 IT 기술인 탓입니다. 어려운 단어를 적어뒀다가 검색해봐도 도통 알기 힘든 설명만 쓰여있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클라우드 용어로 고통받는 사용자와 기업 관계자를 위해 '클라우드 이해하기 3: 클라우드 용어 사전'을 준비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클라우드 용어를 많은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이 사전을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이 해결되길 기대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출처=IT동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란 IT 인프라스트럭처(특정 앱이나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한 장비 모음), IT 서비스 개발도구, 소프트웨어 등을 인터넷 망을 통해 기업이나 개발자에게 임대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줄여서 클라우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이러한 임대 서비스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개발자가 앱과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축적된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즉, 기업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돈을 빌려주고 저장해주는 서비스를 은행이 제공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도 은행처럼 기업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 개발도구, 소프트웨어를 빌려주고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상화

과거에는 하나의 PC에 하나의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이 위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이 당연시되었습니다. 기업의 서버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서버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이 위에서 기업용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실행했습니다. 그런데 만약 서버나 서버 운영체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업용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에서도 바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개인용 PC라면 소프트웨어를 조금 이용하지 못하더라도 큰 문제가 아닐 것입니다. (물론 짜증은 많이 나겠지요.) 하지만 기업용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는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금전적인 손실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

때문에 기업의 서버(인프라)나 운영체제(IT 기술)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기업용 소프트웨어나 서비스가 문제 없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 바로 '가상화(Virtualization)'입니다.

가상화란 네트워크 장비, 서버, 스토리지(저장장치) 등 데이터센터 내의 인프라 전체를 가상화 솔루션을 통해 하나의 거대한 인프라 파워(능력)로 환산하는 기술입니다. 이렇게 환산된 인프라 파워 내에서 가상의 네트워크 장비, 서버, 스토리지 등을 생성한 후 이를 조합해 가상의 인프라(가상머신)를 만들고 여기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구동하는 것입니다.

가상머신 위에 설치된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는 한 대의 인프라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 십대의 실제 인프라가 각자의 능력을 조금씩 각출해서 가상머신을 만든 후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가상화 솔루션은 이렇게 각출한 능력을 조합해 가상머신이 기존 인프라와 동일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인프라가 고장나면 서비스도 함께 중단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가상화를 통해 생성된 가상머신은 지탱하는 여러 인프라 가운데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바로 다른 인프라에서 능력을 각출해오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 없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탱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용성(서비스 사용 가능 시간) 99.98%~100%를 보장하는 것도 이러한 가상화 기술 덕분입니다. 천재지변 등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공급되는 전기가 끊겨 모든 인프라가 한 번에 중단되는 비상사태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클라우드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론 이러한 비상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모든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비상용 발전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사업자 역시 한 대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만 이용하지 않고 여러 대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하나로 묶어서 기업이 맡긴 서비스와 데이터를 여러 데이터센터에 동시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한 데이터센터 전체 또는 일부가 마비되더라도 다른 데이터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중단없이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데이터센터를 하나로 묶어서 데이터를 보관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리전' 또는 '멀티존'이라고 부릅니다.

가상머신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인프라와 운영체제의 묶음을 뜻합니다. 보이지 않지만 데이터센터 내에 실존하는 컴퓨터(서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러한 가상머신 위에 기업용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설치해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상머신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가상머신에 기업용 소프트웨어나 서비스까지 하나로 묶은 클라우드 '컨테이너(Container)'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외 수출을 위해 모아놓은 컨테이너처럼 기업 서비스의 모든 구성요소도 클라우드 컨테이너에 모아놓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외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요소를 하나로 묶음으로서 서비스 관리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서비스 이동(= 서비스 인프라 이사)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도커(Docker)'는 기존 가상머신과 컨테이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신 컨테이너 관련 기술입니다. 가상머신에는 가상 인프라와 운영체제(호스트 운영체제)가 포장되어 있습니다. 이 위에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실행을 위한 운영체제(게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하나로 묶는 것이 컨테이너 생성을 위한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운영체제가 컨테이너 내에 두 개나 존재하게 됩니다. 때문에 기존의 가상머신형 컨테이너는 운영체제를 두 번이나 걸쳐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다 보니 소프트웨어가 가상머신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도커는 컨테이너 내에서 호스트 운영체제와 게스트 운영체제를 통합해 소프트웨어가 가상머신의 능력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도커(출처=IT동아)


데스크탑 서비스(데스크탑 가상화)

데스크탑 서비스(Desktop as a Service)란 서버 등 기업용 인프라 대신 개인용 PC(데스크탑)를 가상화해서 외부에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기업 구성원들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만 있으면 PC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데스크탑 서비스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에게 업무용 PC를 제공하면 데이터 통합관리와 강력한 보안이라는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때문에 두 가지 장점이 모두 필요한 금융권을 중심으로 선호받고 있습니다. 다만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게다가 기업 구성원의 PC 한 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업무에는 치명적인 지장이 발생하지는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많은 기업이 데스크탑 서비스를 포기하고 망분리 PC 등을 통해 안전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탄력적 컴퓨팅(엘라스틱 컴퓨팅)

기업 서비스의 트래픽이 폭주할 경우 이에 관련된 인프라를 바로 증가시키고, 트래픽이 빠지만 바로 인프라를 줄일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기업은 이를 통해 중단 또는 장애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와 함께 클라우드의 가장 중요한 기술입니다. 탄력적 컴퓨팅 덕분에 클라우드는 예상치 못한 트래픽이란 문제를 해결하길 원하는 기업을 끌어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기업 서비스 관리자가 트래픽에 맞춰 인프라를 일일이 늘리고 줄여야 했던 기존 탄력적 컴퓨팅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트래픽에 맞춰 클라우드가 알아서 인프라를 늘리고 줄여주는 오토 스케일링이라는 기술도 등장했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버스팅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버스팅이란 평소에는 기업의 인프라에서 모든 서비스를 운용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기업 인프라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트래픽이 서비스에 몰릴 경우에만 초과된 트래픽을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하길 꺼리는 기업 또는 이미 내부 인프라가 충분한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점(폭주한 트래픽 대응)만 누리고 싶을 경우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비즈니스 분석 도구

비즈니스 분석도구란 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CRM, ERP, SCM, 파이낸스, 스마트팩토리 등)에서 '정리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분석해서 기업 의사 결정권자들이 향후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복잡한 데이터를 알아보기 쉽게 인포그래픽 형태로 바꿔준다는 것입니다. 물론 보다 정교한 데이터를 원하면 통계 함수가 포함된 스프레드시트 형태로도 데이터를 정리해줍니다.

클라우드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 시각화, 정리 도구를 기업의 기존 비즈니스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비즈니스 분석도구의 대표적인 사례로 SAP 애널리틱스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HD인사이트 등을 들 수 있습니다.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도구

BI 도구란 이메일, 보고서, 동영상, 이미지 등 기업 활동에서 생겨난 '정리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이를 통해 기업 관리자가 의미있는 추세(비즈니스 인사이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클라우드는 이러한 BI 도구를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BI 도구의 대표적인 사례로 아마존 퀵사이트, 마이크로소프트 파워BI, SAP 루미라 등을 들 수 있습니다.

API 컴퍼넌트

기업과 개발자가 고급 서비스(=외부에 공개해 돈을 벌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기초 기술을 클라우드에서 API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뜻합니다. 서비스 구축을 위해 기초 기술을 일일이 개발할 필요가 없어 서비스 상용화 시기를 매우 앞당길 수 있습니다. 많은 클라우드가 수 백개에 이르는 API 컴퍼넌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서비스(PaaS)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사물인터넷 솔루션

대부분의 클라우드 사업자가 기업이 손 쉽게 사물인터넷 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기기 및 센서 관리를 위한 관리 소프트웨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게이트웨이, 데이터 보관을 위한 스토리지,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분석 도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 서비스

블록체인(Blockchain)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블록체인은 중앙 데이터베이스 한 군데에만 거래 관련 데이터를 보관하는 기존 중앙집권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과 달리 여러 군데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이것들이 모두 일치하지 않으면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입니다. 때문에 한 군데만 뚫으면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있는 중앙집권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보다 훨씬 위조나 변조가 어렵습니다. 여러 군데에 분산 배치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동시에 해킹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은행(핀테크 포함)이나 데이터베이스 업체들이 블록체인을 상거래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차세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보고 관련 연구 및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연구 및 상용화를 위해 여러 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대표적인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하이퍼렛저(Hyperledger)’와 ‘R3CEV’입니다. 이 두 컨소시엄은 블록체인을 실제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와 오픈소스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컨소시엄 뿐만 아니라 개인 개발자도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개인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고안한 가상화폐 ‘이더리움(Ethereum)’입니다. 이더리움을 지탱하는 블록체인 기술 '이더리움(가상화폐와 블록체인의 이름이 동일합니다)'은 거래 기록만 보관하던 기존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한 발 더나아가 계약서, 전자투표, 이메일 등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서비스(Blockchain as a Service)란 이러한 블록체인을 클라우드상에서 구현하려는 프로젝트입니다. 하이퍼렛저나 이더리움 등 오픈소스 블록체인 기술을 클라우드 서비스 위에 구축해, 기업이 자사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보다 빠르고 편하게 블록체인을 도입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 발전을 위한 차세대 원동력으로 보고 관련 연구와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암호화폐)의 구조도 (출처=이더리움)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이란 인지능력을 갖춘 기계를 뜻합니다. 즉 보는 능력(컴퓨터 비전), 듣는 능력(스피치 레코그니션), 읽을 수 있는 능력(내추럴 랭귀지 프로세싱)을 갖추고 있어야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지능력과 기계 특유의 빠르고 정확한 처리 능력이 결합되면 사람보다 뛰어난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보여줄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인공지능이 비즈니스 전반을 혁신할 것이라고 기대받는 이유입니다.

때문에 많은 기업이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실무에 도입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관련 기술이 없는 상태에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때문에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인공지능을 개발할 때 활용한 기초 기술을 클라우드를 통해 외부에 공개해 기업이 자사만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네이버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는 알렉사, 코타나, 구글 어시스턴트, 클로바 등 자체 인공지능을 개발한 경험을 살려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업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크게 컴퓨너 비전(사물 인식), 스피치 레코그니션(음성 인식), 내추럴 랭귀지 프로세싱(언어 인식), 데이터 애널리틱스(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많은 기업이 자체 비즈니스용 인공지능이나 인공지능 상담사(챗봇)를 개발해서 상용화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IT 기술과 큰 관계가 없던 기업이 어느날 갑자기 인공지능을 개발해 자사 서비스에 적용했다는 소식을 알려왔다면, 이는 십중팔구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것입니다. 클라우드로 제공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IT 기술과 큰 인연이 없던 회사도 재빨리 인공지능을 개발해 자사의 서비스를 혁신할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클라우드 제공자

클라우드 제공자(클라우드 사업자)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와 개발도구 등을 갖춘 후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업에게 제공하는 업체를 뜻합니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제공자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 IBM 클라우드, 알리바바 클라우드, 오라클 클라우드 등 해외 업체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 KT 유클라우드 비즈(G클라우드 포함), 가비아 G클라우드, 스마일서브 클라우드V 등 국내 업체를 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제공자는 대규모 서버 인프라(인터넷 데이터센터)와 IT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고, 이를 외부에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가트너, IDC, 시너지리서치그룹 등 시장조사기관은 클라우드 제공자의 경쟁력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이러한 보고서를 토대로 자사 상황에 맞는 클라우드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파트너

클라우드 파트너란 클라우드 제공자와 협력해 기업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업체를 뜻합니다. 클라우드를 활용해 기업의 서비스를 대신 구축해주거나 대신 운영해주는 SI 파트너(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와 클라우드 앱 장터를 통해 기업이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SaaS 파트너(소프트웨어 서비스 파트너)가 클라우드 파트너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SI 파트너는 과거 SI 사업자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과거 SI 사업자는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ERP, CRM, SCM, 파이낸스, 스마트 팩토리, 사물인터넷 관리 시스템 등)를 기업의 인프라에 구축해줬습니다. 현재 SI 파트너는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인프라에 구축해주고 있습니다. 하는 일이 동일하기 때문에 과거 SI 사업자가 현재 SI 파트너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I 파트너의 대표적인 사례로 액센추어, 캡제미니 등 글로벌 업체와 삼성 SDS, LG CNS, 포스코ICT, 메가존, GS네오텍 등 국내 업체를 들 수 있습니다.

SaaS 파트너란 클라우드 서비스 내의 클라우드 앱 장터를 통해 기업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뜻합니다. 기업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구매해 보다 빠르게 앱과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SaaS 파트너는 ERP, CRM, 보안 기술, 오픈소스 패키지 등 기업에게 필요한 다양한 IT 기술을 개발/판매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패키지 형태로 판매했지만, 현재는 클라우드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기업의 서비스에 바로 연결해주고 있어 보다 빠르게 기업 서비스에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접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aaS 파트너 역시 과거에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개발하던 업체가 많습니다. SaaS 파트너의 대표적인 사례로 SAP, VM웨어, 세일즈포스, 워크데이 등 해외 업체와 안랩, 펜타시큐리티, 잉카엔트웍스, SK인포섹 등 국내 업체를 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수준 협약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이란 클라우드 제공자와 사용자(기업) 간에 맺는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에 대한 협약을 뜻합니다. 클라우드 제공자는 협약을 통해 사전에 정의된 수준의 서비스를 가입자(기업)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서비스의 품질이 협약된 내용에 미달되는 경우에 제공자는 품질 보증 위반에 따른 서비스 이용료를 감면 또는 환불을 제공해야 합니다.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제공자는 민간 사업자입니다. 때문에 기업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아무런 부담이 없지만, 정부나 공기업은 법과 국가정보원의 보안 규정 때문에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효율적인 클라우드를 두고 비효율적인 자체 인프라 운영이나 기존 서버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이러한 정부와 공기업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는 정부와 공기업만을 위한 클라우드입니다. 법에 규정된 보안 요건을 준수하고, 망 분리 등을 통해 민간 사업자가 이용하는 클라우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미 미국과 중국 정부는 민간 클라우드 제공자에게 요청해 정부를 위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한 상태입니다. 국내에서도 정부와 공기업을 위한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막이 올랐습니다. KT, 네이버, 베스핀글로벌, 스마일서브 등이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는 법과 규제 준수라는 그 특성상 해외 업체가 참여하기 매우 힘듭니다. 때문에 KT 또는 네이버가 그 주도권을 쥘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Cloud)가 세상을 변화시킨다.' 이제는 4차 산업혁명, 나아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최첨단 정보기술(IT) 클라우드의 중요성에 대해 어느 누구도 부인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선 비즈니스 현장으로 들어가면 '과연 많은 돈을 들여 클라우드를 써야 하는 것일까'하는 의문은 남아있습니다. 비즈니스인사이트와 IT동아는 클라우드가 미디어부터 제조업, 유통업, 금융업, 스타트업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고, 향후 어떻게 비즈니스 생태계를 변화시킬 것인지에 관해 비즈니스맨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오늘부터 클라우드가 바꾸는 비즈니스 환경, 다시 말해 Biz on Cloud라는 주제로 연재를 시작합니다.

비즈니스인사이트 바로가기(http://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businessinsight&categoryNo=0)

동아닷컴 IT전문 강일용 기자 zero@donga.com